[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대한한돈협회 이기홍 신임 회장이 온실가스 저감정책 전반에 걸친 개선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이기홍 신임 회장은 지난 6일 열린 정부 관계부처 합동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안) 대국민 공개 논의 공청회’에 참석, “온실가스 저감과 감축목표라는 시대적 흐름은 부정하지 않는다”면서도 현실과 괴리된 저감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축산부문 관련 발언은 이기홍 신임 회장이 유일했다.
이기홍 신임 회장은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축산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우리나라 전체의 1.58%에 불과한데도 20%를 줄이라는 건 너무 과도하다”며 “더구나 그 방법까지 강제한다는 건 절대 반대”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은 온실가스를 줄이라는 건지, 에너지를 증산하라는 건지 납득하기 어렵다며 바이오가스화에 매몰돼 있는 정부의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직격하기도 했다.
이기홍 신임 회장은 “가축분뇨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를 만들 수 있는 재료가 아니다. 음폐물 등이 주요 재료가 돼야 한다”며 “바이오가스로는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절대로 달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체계의 심각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현재 우리 정부의 축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식이 가축두수만 변수가 되는 ‘Tier(티어)1’으로 적용되면서 양축현장의 온실가스 저감실적 반영이 어려운 현실을 설명한 것이다.
이기홍 신임회장은 “국내 많은 축산농가들이 이미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높은 ‘Tier 2’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며 축산현장의 온실가스 저감실적이 반영될 수 있는 산정방식으로의 변경을 촉구했다.
아울러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기대하기 힘는 바이오가스에만 집중하고, 저감실적도 반영하기 어려운 배출량 산정 체계하에서 막연히 탄소를 줄이라고 하면 식량산업을 죽이는 길이라고도 했다.
이기홍 신임회장은 특히 “유럽도 2024년 2월 농업 부문 10% 감축 목표를 현실성 문제로 백지화 했다”며 정부를 압박하기도 했다.
한돈협회는 앞서 지난 10월3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안호영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전북 완주·진안·무주) 등 여야 국회의원들과 공동 개최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돼지분뇨 저탄소 방안 국회 토론회’ 를 통해 정부의 온실가스 저감정책과 산정체계의 ‘엇박자’로 인한 폐해및 바이오가스 중심의 저감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