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규모따라 지급률 다르다 후계자 부재 여전 가업을 이어나갈 후계자의 부재는 전업양돈농이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번 조사대상 농가중 23.6%만이 “후계자녀가 있다”고 응답했다. 환경문제 등 각종 규제강화로 인해 양돈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천두 미만 농가의 경우 22%만이 후계자가 있는 반면 그 이상 규모에서는 40% 이상인 것으로 조사돼 소규모 농가일수록 후계자 문제의 심각성이 더한 것으로 분석됐다. 등급별 가격정산제에 의존하고 있는 전업농가는 절반에 가까운 42.7%에 달했으나 사육규모와의 상관관계는 불분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급률 부문에 있어서는 5천두 이상 규모에서 평균 70.1%에 달하는 등 규모가 클수록 높은 지급률을 나타냈다. 특히 지역별로는 제주도가 평균 75%로 가장 높은 반면 충남과 전남의 최저 수준의 지급률을 보이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출하시 정산기준의 경우 서울 평균가격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는 농가가 63.8%에 달했는데 이는 기업규모일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는 지방가격이 많이 적용됐다. 한편 가축공제 가입 표본농가는 전체의 46.1%로 건물손해보험 가입률 보다는 떨어졌지만 양돈장 소모성질병의 확산 요인으로 인해 2년전과 비교해 18.7%p가 상승했다. 전업양돈농가들은 또 사료나 동물약품회사 및 전문잡지 등을 통한 신기술과 정보습득 의존도가 높은 반면 인터넷 등 컴퓨터 활용은 아직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모성질병 심각 이번 조사대상 전업양돈농가의 40.7%가 PMWS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더욱이 13.1%의 농가는 복합적인 피해에도 불구하고 질병명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 양돈장의 심각한 소모성질병 피해를 뒷받침했다. 규모별로는 1천~2천두 규모농가에서 PMWS로 인한 피해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5천두 이상 기업규모 농가에서는 PED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 및 폐사가 가장 심각하게 발생한 시기는 이유후 자돈 사육기간으로 조사대상 농가의 55.5%가 지목했으며 육성기간이 25.2%, 자돈 포유기간 16.9%의 순이었다. 이러한 질병방역 대책으로 전업양돈농의 27.9%가 농장주 방역의식의 강화를 지적했으며 떨이돼지 유통과 청정종돈공급이 필요하다는 대답도 22%에 달해 농가 스스로의 방역의식을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이밖에 양돈농가들이 자주접하는 양돈자조금사업은 역시 TV, 라디오 등 직접 소비홍보 광고로 42.9%에 달했으며 정기 양돈자조금지가 22.3%, 간접방송광고와 지역별 시식회가 각각 17.9%와 11.9%로 그뒤를 이었다.전업양돈농들이 희망하는 양돈자조금 중점추진사업으로는 직접 소비홍보 광고가 35.8%, 새로운 요리법 개발 및 우수성 연구 19.6%, 제도개선 및 규제완화 15.6%였다. 주목할 것은 양돈자조금을 새로이 납부해야할 분야로 전업양돈농의 27.7%가 돼지고기 수입업자를, 24.4%는 사료업자를 지목했다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