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유전자원 체계적 보존·관리 ‘온힘’

  • 등록 2006.10.25 12:40:41
크게보기

가축유전자 시험장은 국가의 소중한 자산인 우리나라 동물유전자원을 보존 및 관리할 국가체계를 수립해 운영함으로써 가축개량 및 생명공학 소재로 할용할 수 있는 품종 다양성을 확보하고 동물 생식세포의 보존 및 복원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고능력 축군의 조성 및 조기 개량에 활용해 농가소득 증대에 앞장서고 있다.

⑬가축유전자원시험장
최근 생물다양성협약이나 세계농업식량기구(FAO) 등에서 동물유전자원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세계전략에 대응하고 국내 동물유전자원의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 2004년에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과가 가축유전자원시험장으로 확대 개편됐다.

동물유전자원 관리위한 국가전략 개발
우리나라 동물유전자원 보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을 중심으로 동물유전자원 국가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FAO에 국내 동물유전자원 현황에 대한 국가보고서를 제출하는 한편, 멸실 위험성이 있는 희소품종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유전자원의 탐색, 분류, 수집, 관리 및 축종별 특성평가, 동물유전자원의 영구보존을 위한 생식세포 및 수정란의 동결보존 및 복원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유전자시험장은 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8개 축종의 희소품종에 대해서는 240농가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품종의 사육추세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품종의 멸종위험을 감시해 나아간다는 방침이다.
동물유전자원에 대한 자원주권, 농부권, 이익공유 등의 국제적 쟁점화에 대비해 유전자원과 관련된 국제기구나 단체의 동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관련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입장이 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분자생물학 이용한 동물유전자원 특성검정·국가표준 작성
최근 20년 동안의 분자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동물유전자원의 특성검정에도 유전자 분석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축산물 생산이력제, 개체식별, 친자감별 등과 같이 산업적으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실험실, 실험장비, 실험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분석결과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국제동물유전학회에서 실시하는 국제비교동정시험에 참가해 국제적으로 그 기술을 공인받고 있는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은 국내 비교동정시험을 주관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킬 계획이다.

성판별 수정란이식의한 맞춤형 한우송아지 생산 연구
2004년부터 값싸고 간편한 성판별 수정란 이식연구를 수행해온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은 우수한 혈통을 가진 한우에서 채취한 수정란을 성판별하고 암컷의 수정란을 이식해 2005년 4월 17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한우 암송아지를 생산한 바 있다.
2005년 수정란 성판별 기술을 8개도 축산연구기관 영농법인 1개소에 기술 이전했으며 올해에는 암컷으로 판별된 한우 수정란을 농가의 수란우 50두에 이식할 계획이다.

한우 수정란 생산효율 증대 연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은 우수한 유전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한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짧은 기간내에 반복적으로 채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그 동안 다배란을 유도하기 위해 자연발정우를 선발해 활용했으나 프로제스테론 호르몬 방출기구를 이용하므로서 발정주기와 무관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등 발정조사 없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정란을 채취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했다.
또한 다배란 유도를 위해 투여하는 호르몬의 종류보다는 공란우의 영양상태가 수정란 생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공란우 사양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이러한 기술들을 올 2월 각도 축산연구기관 연구원들에게 전수하면서 한우에서 수정란을 채취하는 실습교육을 실시해 우수 한우 수정란이 농가에 조기 공급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호르몬 투여기간과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연구를 통해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우수한 수정란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립할 계획이다. 또한, 특수가축의 실용화 기술 개발로 우리나라 사슴이나 염소 품종 보존과 이들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품질 고급화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은 동물유전자원 수집 및 국가관리 기반 확보를 목표로, 가축유전자원의 축종별 특성평가기준 설정, 생식세포와 수정란의 생산 및 이용기술 개발, 특수가축의 농가실용화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와 미래에 유용한 자산으로서 동물유전자원을 수집·평가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김은희 tops4433@chuksannews.co.kr
뉴스관리자 편집장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