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사료 저렴한 가격 공급 노력

  • 등록 2009.06.24 12:32:58
크게보기

■화제의 현장 / 경기 고양시 서울우유 고양TMR회

[축산신문 조용환 기자]
 
- <사진 위> 고양TMR 전 가족이 바쁜 일손을 멈추고 잠시 포즈를 취했다. <사진 아래>고양TMR회 관계자들이 질 좋은 TMR사료 생산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허증 고문 ▲김신균 공장장 ▲이옥엽 이사 ▲박동성 회장.
농가 소득증대·고품질 우유생산 한 몫
TMR사료 생산량 꾸준히 증가…작년 1만8천145톤 기록
사료가격 올 세차례 걸쳐 12.6% 인하…준조합원에 인기
6억4천만원 투입 설비 자동화…OEM사료 가격도 내려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성석동 1693번지 서울우유 고양TMR회(회장 박동성·개건너목장)는 관내 축산농가가 도시화 등에 밀려 감소하는데도 불구하고, 사료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 추세다. 그 이유는 품질은 우수하면서 가격은 지속적으로 내리기 때문이다.
이 TMR회는 1993년 5월 고양낙농영농조합법인 설립인가를 받고, 동년 12월 23일 TMR공장을 준공했다. 부지 2천61평 가운데 TMR사료 생산설비와 콘테이너 도크까지 설치한 공장면적은 118평이다. 완제품을 보관하는 창고 2개동 181평과 소형빈 및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는 원료창고도 59평이 있다. 관리사와 사무실·회의실은 적재적소에 알맞게 구비돼 있다.
특히 고양낙농영농조합 회원농가들은 TMR공장 설립시기인 90년대 중반부터 신도시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환경오염과 민원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출자조합원 55명 가운데 사료이용 조합원은 6월 현재 39명뿐이다.
반면 준조합원은 43농가로 늘었다. 2004년 74.3% : 25.7%였던 조합원과 준조합원의 TMR사료 이용 비율은 2008년 64.6% : 35.4%로 조합원이 이용하는 TMR사료는 9.7% 감소하고, 그 감소폭을 준조합원이 메웠다는 것이 고양TMR회 김신균 공장장(50세)의 말이다.
1994년 8천9백71톤을 생산했던 TMR사료는 1998년 1만978톤·2002년 1만2천927톤·2006년 1만5천414톤·2007년 1만6천785톤·2008년 1만8천145톤 등으로 꾸준히 증가추세다.
이처럼 고양TMR사료가 준조합원으로부터도 인기가 있는 것은 TDN(가소화양분총량)이 높은 등 사료의 품질이 우수한데 비해 가격은 올해 들어 지난 2월·4월·6월 등 세 차례에 걸쳐 12.6%나 인하한데 따른다. 예를 들면 지난해 12월 kg당 358원 이었던 ‘완전TMR사료’ 출고 가격은 6월 현재 319원으로 39원이나 내렸다. ‘착유1호(주문4호)’가격도 지난해 12월 377원에서 6월 현재 350원으로 27원이 내렸다.
고양지역 카길과 무지개사료 대리점으로부터 주문받아 생산하는 OEM사료 가격도 각각 지난해 12월 367원과 341원에서 6월 현재 328원·304원으로 내려 관련농가 소득증대에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2006년 자부담 5억2천만원과 시보조 1억2천만원을 포함 모두 6억4천만원을 들여 교체한 믹서기와 원료자동 투입시설·저장탱크 등을 자동화한 것도 생산비 감소요인이다.
박동성 회장(55세·개건너목장)은 “맑고 투명한 경영을 통해 양질의 TMR 원료를 저렴하게 구입하고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은 곧 농가소득 증대와, 고품질의 우유 생산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 등 두 마리의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고양TMR회 설립멤버 이옥엽이사(58세·경실목장)는 “16년 동안 고양TMR사료를 급여하는데 그 비율은 98%이며 나머지 2%는 어린 송아지 또는 착유를 하기 전 유도사료로 이용하는 배합사료”라고 말하고 “두당 유량은 하루 평균 34.2kg으로 늘었다”고 덧붙였다.
고양 완전TMR 급여 농가 24호의 두당평균 유량은 5월 현재 31kg이며, 유지율 4.1%·유단백 3.1%로 각각 나타났다. 이 젖소들이 하루 평균 섭취하는 TMR사료는 두당 29.8kg이며 배합사료는 3.5kg에 머물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부담 5천100만원과 고양시에서 3천800만원을 보조받는 등 모두 8천900만원을 투입하여 지게차 2대와 스키드로더 1대 등 최신장비를 추가로 구입했다. 따라서 앞으로 생산성 증대에 의한 TMR사료 가격 인하 요인은 추가 발생할 전망이다.
조용환 yhcho@chuksannews.co.kr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