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지역 개발 질병노출·시설노후화 심각

  • 등록 2010.03.10 10:13:13
크게보기

■초점 / 양계협회 닭경제능력검정소, 정부지원 축소 경영 위기

[축산신문 노금호 기자]
 
- 1. 닭경제능력검정소의 양계장 모습. 2. 값비싼 외국제품 사료측정기의 잦은 고장으로 검정능력에 차질이 올까 우려되고 있다. 3. 오래된 검정소를 말해주듯 건물이 붕괴되고 있다.
청정지역 이전·검정업무 효율성 제고 지원 시급

한국양계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양계협회 닭경제능력검정소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양계협회 닭경제능력검정소(소장 이동기)는 지난 60년대 서울 도봉동에 설립된 이후 경기도 김포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지난 85년 지금의 경기도 안성으로 터를 옮겼고 벌써 25년이 지났다.
검정소는 1만평 규모의 부지에 검정계사 11동과 부화실 1동, 창고 등을 갖추고 있다.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시설이 낙후돼 있고, 최근에는 정부지원마저 대폭 삭감되면서 설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검정소 주위환경이 개발됨으로써 질병노출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청정지역으로 이전해 검정업무의 효율성을 높여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검정소의 경우 워낙 부지가 넓은 데다 이전비용이 커 선뜻 구매하려는 사람이 나서지 않고 있다. 한 검정소 관계자는 “이전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지만,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고 있다. 시설과 기계를 교체해 검정능력을 향상시켜야만 검정소가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박사급 인력이 검정소에 대거 포진해 있다. 그렇지만, 그들이 장비를 자체수리하는 등 어려움이 많다. 특히 비싼 장비라든가, 고급 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정부지원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노후화된 시설에다 최근에는 정부 지원까지 줄어들게 돼 검정소는 경영어려움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측은 지원감축에 대해 “검정소 기능이 축소되면서 어쩔 수 없이 지원도 줄어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정부와 관련업계에서 양계산업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최소한의 검정사업을 수행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닭능력검정소의 목적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여러 계통의 닭을 한국적인 양계 여건 하에서 사육했을 때 어느 닭계통이 어떠한 생산능력을 나타내는지 공정하게 평가해 우리나라 양계농가에게 우수한 종계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검정소에서 얻어진 검정성적은 닭을 개량하는데 필요한 귀중한 정보자료로 이용된다.
또한 출품종인 닭계종에 대한 검정성적의 장단점을 조사·평가해 개량방향을 파악하게 된다. 정부는 검정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외국종계에 대해 종계수급조절과 양계경영, 양계산물 수급조절 등에 활용하고 있다.
노금호 kumho@chuksannews.co.kr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