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워크숍에서 이재용 회장은 ‘한우산업 동향과 가축개량 정책의 이해’를 주제로 한 특강에서 “급변하는 시대에 협회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회원농가에게 최신정보와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전제하고 “한국종축개량사업 발전과 회원농가 소득을 배가토록 톡톡 튀는 아이디어의 개발과 지원에 적극 앞장서자”고 강조했다. 또 김병숙 팀장은 ‘고능력우 송아지의 알선과 회원농가 소득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한우에서 능력에 따른 차등가격을 적용하여 거래가 이뤄지는 곳이 전무하다”고 지적하고 “협회에서 개량농가를 위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가격을 산출하여 우리나라 최고의 엘리트 송아지를 알선해주는 사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에 대한 토론에서는 대상우의 규격기준과 지역축협 경매우 시장과의 차별화 방안, 사업의 타당성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밖에 한우개량부 김준수 과장이 발표한 ‘우량 암소의 확대생산 및 저능력우 도태방안’과 문효식 팀장의 ‘본부와 지부와의 역할 분담’ 김연상 팀장의 ‘판상여비의 개선방안’ 주제도 돋보였다. 한우개량부 정용호 부장은 워크숍 총평에서 “1박 2일 동안 이뤄진 주제별 발표와 분임토의에서 돌출된 직원들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사고의 전환으로 그동안 구제역으로 부진했던 사업실적을 앞으로 만회토록하자”고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