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 고유 자산 ‘칡소’체계적인 육성책 시급

  • 등록 2011.10.06 16:21:13
크게보기

손경찬 감사<전국칡소협의회>


온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무늬가 있는 소. 바로 우리 한우의 한 품종인 칡소다. 

칡소는 조선 초 조준이 지은 한국마방전서에서 세로무늬 줄이 있는 소를 칡소라고 명칭한 것이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박목월 시인의 ‘얼룩송아지’에서, 또 정이용 시인의 ‘향수’에서 등장하는 얼룩빼기 황소가 바로 칡소다. 

그동안 얼룩송아지라고 하면 흔히 홀스타인 젖소로 생각하던 사람들도 요즘에는 칡소에 관심을 갖는 현상이 많아졌다. 사육농가의 한 사람으로써 반갑고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어쨌든 우리민족 고유의 자산이자, 한우품종인 칡소는 안타깝게도 작금에 와서는 일부 농가와 연구기관에서만 볼 수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칡소 사육농가와 사육 마리 수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70여 농가, 1천700여두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 및 지원 대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제는 정부차원에서 칡소를 보호하고 육성하는 정책을 강구해 사육 마리 수를 늘려 많은 농가에게 보급해야 한다.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