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최근 몇 년 사이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기온과 병충해 영향 등으로 꿀벌 집단 폐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라남도 도서 지역에서 여왕벌을 육성해 농가에 보급하는 증식장이 조성됐다.
전남도농업기술원에 의하면 영광 낙월도와 진도 가사도리에 꿀벌 육성 및 증식 시설을 조성해 양봉산업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들 지역은 외부 병해충 유입이 적고 생태 환경이 안정적인 도서 지역으로, 꿀벌 증식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2023년 전남 지역에서 조사된 2천169개 양봉 농가 가운데 2천42곳에서 꿀벌 집단 폐사가 발생했다. 전체 벌무리(봉군) 수 26만7천983군 가운데 59.8%에 해당하는 16만379군이 폐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폐사 원인으로는 꿀벌응애의 약제 저항성 증가, 방제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 이상기온에 따른 환경 부적응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 꿀벌 증식장은 농촌진흥청의 ‘꿀벌 증식장 설치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와 도비 등 총 24억원이 투입된다. 영광 낙월도에는 386㎡ 규모의 꿀벌 증식장이 조성돼 지난 4월 28일 개소식을 진행했다. 또한 진도 가사도리는 내년 3월 중 완공될 예정이다.
한편, 전남도는 이들 시설에서 질병과 환경 변화에 강한 신품종 여왕벌 ‘젤리킹’을 육성·보급할 계획이다. 젤리킹은 재래종보다 로열젤리의 핵심 성분인 10-HDA 함량이 31.3%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00마리를 시작으로 총 500마리까지 늘려나갈 방침이다.
전남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꿀벌은 농작물 수분을 담당하는 중요한 자원”이라며 “도서 지역 증식장을 거점으로 양봉 농가는 물론 과수와 채소 재배 농가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