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기자재 농협계통구매 1년반 실적 2건 불과

활성화 대책 긴요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7.16 00:00:00

기사프린트

축산 기자재의 공급을 활성화하고 소비자인 축산농가에서 기자재를 손쉽게 구입하게 하기 위한 농협계통구매사업이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하였으나, 사업 실적이 극히 미미해 농협계통구매사업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축산 기자재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농협계통구매사업 실적은 단 2건에 불과하다며, 이 사업의 적극적인 홍보와 수수료 인하 등의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업계 관계자들이 지적하는 계통구매사업 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수수료 문제다. 농협계통구매사업은 총매출 대비 농협중앙회 1%, 해당 단위조합 7%(최대), (사)한축기협 2%등 수수료 비용만도 매출액의 10%나 된다. 여기다 업체간 상호보증 또는 1천만원의 사후이행보증금을 예치해야 하는 것을 감안할 때 기자재 업계의 부담이 결코 적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수료를 재조정하는등 기자재 업체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것이 기자재 업계의 주장이다.
이와 아울러 농협계통구매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축산기자재의구입시 농업종합자금제도의 개선등도 요구되고 있다. 즉 농업종합자금제도의 시행으로 축산농가의 자부담이 큰데다 지원제한강화와 엄격한 대출실시기준, 대출절차 및 복잡한 서류작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농협구매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축산기계도 농기계구입지원사업과 같이 정부지원 대상기계로 선정하는 정책방안을 강구하여 우수 축산기계의 공급을 통한 경쟁력제고와 투자효율성이 강화될 수 있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이다.
또한 농기계와 달리 시설이 주된 축산 기자재는 정책자금인 농협종합자금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축사시설의 신규 또는 증개축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승인을 받아 계통구매자금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따른 담보물과 보증이 필요로하고 금리의 비용부담이 늘어나 실제 축산농가들은 이를 회피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농기계의 경우 농협정책자금을 쉽게 활용토록 담보보다 신용대출이 주를 이루면서 계통구매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비해 축산기자재는 신용대출이 쉽지 않고 대출 금액도 큰 반면에 단위조합에서 별도의 대출를 받을 시 금리부담이 가중되어 농협계통구매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설명이다.
한편 그동안 농협계통구매사업에 참여한 계통구매업체는 현재 10업체가 등록되고 있으나 우·돈형기를 제작 공급하는 이천계기제작소와 콘슬랏 바닥망 제조 공급업체인 동아산업만 각기 450만원과 1억9천여만원의 매출을 올린채 이용율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