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닭뉴캣슬병 관급백신 공급 확대검토

농림부, 닭뉴캣슬병방역협의회서 밝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7.16 19:37:55

기사프린트

정부가 닭뉴캣슬병 관급백신 공급량 확대를 긍정검토할 방침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림부는 지난 15일 개최한 닭뉴캣슬병방역협의회에서 양계업계의 백신공급량 확대 요구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농림부 가축위생과 김태융 사무관은 "정부의 지원은 객관적인 자료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백신공급량 확대의 필요성을 입증할 기초자료가 제시될 경우 빠른 시일내에 이를 적극 검토해 농가들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말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그는 다만 당초 마련된 ND백신공급 계획이 종계업계가 제출한 자료에 근거한 것인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는 정확한 보고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달청과 생산업체의 가격협의 불발로 올들어 일체 공급되지 않고 있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에 대해서도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농림부의 한관계자는 지난 16일 "조달청에 비공식적으로 협조를 요청하긴 했으나 행정관행상 그이상은 어려울 뿐 아니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시한 개별구입후 농가공급방안도 현실성이 없어 현재로선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토로, 단기간내에 MG백신 공급이 개시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강력한 제재를 동반, 관심을 모아온 닭뉴캣슬병 방역실시요령의 경우 농림부는 "구제역으로 인해 관련법령고시가 이뤄지지 않아 그 실시가 지연되는 것일 뿐 실시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회의에 참석한 종계업계 관계자는 "관급 백신의 적기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종계업계는 정부의 관련 정책을 보이콧 할 수 밖에 없다는 기존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본지 7월16일자 6면참조)
특히 닭뉴캣슬병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제의 조속한 도입과 함께 질병근절을 위한 백신뿐 만 아니라 종계 및 육계 사육환경 개선의 필요성과 정부지원을 강력히 촉구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