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바이 아웃.원유계획생산제 도입을

낙육협 임원 간담회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8.12 10:50:26

기사프린트

현재 당면되어 있는 원유수급불균형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미국이 실시한 「바이 아웃」정책과 원유계획생산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되고 있다.
또 정부는 금년중 낙농진흥회에 적체될 재고분유를 소진하고 이후 잉여될 원유에 대해서는 낙농가가 책임을 져야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김남용)가 지난 8일 정오 대전 유성소재 홍인호텔에서 고문·이사·감사·도지회장·분과위원장등 낙농육우지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임원간담회에서 제시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대다수 지도자들은 원유수급조절을 위해 올해 이미 8백49억원을 투입하고 젖소도태권장사업도 펼쳤으나 전국의 재고분유는 7월 20일 현재 1만9천1백59톤이나 적체되어 농가들의 불안감은 날로 고조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악순환 되고 있는 원유수급불안정 문제의 요인을 낙농지도자들은 농림부와 낙농진흥회가 그동안 회원가입에 치중한 나머지 국내 원유생산량이 큰 폭 증가하고, 혼합분유 등 유제품 수입량이 늘어난 반면 우유소비량은 위축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현재 적체된 전국의 재고분유중 낙농진흥회에 적체된 량과 진흥회에 가입한 우유조합과 업체가 안고 있는 잉여분유량은 정부와 낙농진흥회가 책임을 지고 해소시켜야하며 이후 발생되는 잉여원유에 대해서는 낙농가도 책임을 져야하는 만큼 원유계획생산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일부 낙농지도자들은 주장했다.
특히 일부낙농지도자들은 원유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미국이 기 실시하여 성공을 거둔 「바이 아웃」제도를 정부차원에서 도입, 일정기간 일정두수의 젖소송아지를 도태하여 확대되어 있는 원유생산량을 줄여야 옳다고 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또 우유소비를 체계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도록 전담기구를 설립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조용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