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을 게릴라성 폭우로 인해 축사가 침수되고 농장집입로 등의 침수나 유실로 인해 사료급여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방역관리에 비상이 결렸다. 때마침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수해지역 방역관리지침을 내놓았다. 방역지침을 옮긴다. <편집자> 우선 침수된 축사의 물빠짐을 위해 농자이나 축사주위의 배수관리를 철저히 해야 함은 물론 가축 사체는 즉시 매몰 또는 소각처리해 이로 인한 질병 전파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또 침수된 축사나 농장의 내외부를 깨끗이 청소한후 소독을 실시해야 하며 특히 침수된 사료나 급수시설에 대해서는 철저한 청소와 함께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침수지역은 각종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차단방역, 위생관리 및 각종 예방접종을 철저히 실시해야 한다. 수해지역 농가에서 질병의심축이 발생하면 즉시 관할 시군 및 가축방역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해야 하며 부드러운 조사료와 양질의 사료를 공급해 가축을 안전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축사유실이나 침수 등에 의한 방풍 및 보온시설 파손 등으로 호흡기 및 설사병 발생우려가 높은 만큼 보온과 함께 항생제를 투여하고 파리 모기구제는 물론 구충제를 투여하고 구서작업을 병행해 전염병 방지에도 노력해야 한다. 축종별 가축방역관리 요령은 젖소 질병(유방염) 예방관리를 위해서는 침수등으로 인한 갑작스런 사료급여 중지로 인해 체내 에너지공급을 위한 유리지방산의 과잉생산되거나 일부는 간세포에 축적되어 지방간이 형성되는 등 지방간 발생 우려된다. 또 사료급여 중지로 체내 면역저하 및 오염물 섭취에 따른 장내 정상세균층 파괴에 의한 세균성 설사 발생도 우려된다. 이에 따라 검역원은 착유장비 유실 및 침수된 농장의 젖소는 위생적으로 손착유 실시, 유두 침지소독과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주입해야 하며 경결된(굳어진) 유방은 소염제 및 맛사지 등을 사용하여 유방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동시에 아미카신, 겐타마이신, 엔로플록사신 등으로 유방염을 치료해주고 장마철 고습도로 볏짚 등 조사료와 배합사료에 대한 침수방지와 축사바닥의 깔짚을 자주 교체하면서 통풍을 유지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소 질병 예방관리와 관련 검역원은 갑작스런 사양환경변화 및 스트레스에 의한 항병력 저하될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초유공급 및 신생송아지에 대한 철저한 사양관리를 해야 하며 착유전이나 수유전에 반드시 유방 및 유두침지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축사붕괴 및 일교차 등에 대비한 방풍 및 보완관리로 호흡기질병과 설사병 예방을 강화해야 하며 합포체성폐렴, 파라인플루엔자, 전염성비기관염, 코로나바이러스 및 소 바이러스성설사(BVD), 소유행열 등 주요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 장마 등으로 인해 토양이 유실돼 이로 인한 토양유래성 질병(탄저·기종저), 장독혈증 등이 야초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예방관리 및 소독철저를 철저히 해야 하며 전염성 각결막염(일명 pink eye) 예방을 위해 파리 등 해충구제 실시 및 환축은 즉시 격리하여 식염수로 세정하고 항생제로 점안치료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돼지 질병 예방관리를 위해서는 창상에 따른 토양유래성 질병인 돈단독 및 클로스트리디움증 등과 같은 질병 예방접종 철저히 해야 하며 호흡기질병 증가 우려로 밀사를 피하고 환기 개선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흉막폐렴, 전염성위장염, 유행성설사병 및 로타바이러스감염증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야 하며 새끼자돈은 충분한 초유공급 및 보온관리를 철저히 하고 무유증 예방관리를 철저히 함은 물론 전해질공급을 실시해 주고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축사내외 및 주위웅덩이 모기구제 반드시 해 주는 것이 좋다. 닭 질병 예방관리는 괴저병, 피부염과 같은 피부병을 방지하고 콕시듐증과 같은 설사병 예방을 위해 유입된 토사를 제거하고, 계사바닥을 건조시켜 주며 톱밥공급 및 소독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호흡기질병 예방을 위한 밀사를 피하고 유해가스를 환기시켜 주며 뉴캣슬병, 전염성기관지염, 전염성후두기관지염, 만성복합호흡기질병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주고 닭 류코싸이토준병 예방을 위해 축사내외는 물론 축사 주위 물웅덩이등에 대한 모기구제를 철저히 실시해야 한다.<자료제공:국립수의과학검역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