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물 유통 혼란 우려돼

박봉삼 서울축공 도축기능 폐쇄대책위 공동대표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8.23 00:00:00

기사프린트

“서울시민들의 안전 축산물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가락시장 도축기능 폐쇄는 결국 생산자·소비자 모두에게 피해로 돌아갈 것입니다”
박봉삼 공동대표(농협서울축산물공판장 도축기능 폐쇄대책위원회)는 축산물 중심시장인 가락시장의 도축기능 폐쇄는 한마디로 국내 축산물유통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일대 사건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서울시는 주변 아파트 주민들의 수년에 걸친 민원에 따라 서울축산물공판장의 도축기능을 내년 3월 폐쇄시킨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이에 대해 박대표는 “국내 축산물의 기준가격을 제시해온 서울축산물공판장에서 도축기능이 폐쇄되면 상권붕괴로 이어져 출하농가뿐 아니라 전국 양축농가들의 수취가격 저하라는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박대표는 특히 “한우농가의 경우 서울공판장을 통해 서울시민들의 고급육 소비량중 68%에 달하는 쇠고기를 공급하면서 고급육 유통을 선도해 왔는데 상권이 무너질 경우 출하처를 잃게 돼 실질적인 소득이 감소되고 장기적으로 한우 고급육의 수요처도 줄어드는 현상이 빚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권이 붕괴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박대표는 “현재 48명의 중도매인들이 안고 있는 미수금이 6백여억원에 달하는데 거래선에 꾸준히 좋은 고기를 공급해주지 못할 경우 실질적인 유통라인 붕괴와 미수금 회수불능 사태가 벌어질 수 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타지역에서 작업해온 축산물을 공급할 경우 품질을 보장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거래선도 잃고 미수금 회수도 어려워져 유통인들이 견디질 못해 상권이 무너진다는 분석했다. 중심시장의 유통붕괴로 생산자·소비자·유통인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서울시등에서 주장하고 있는 타 도축장에서 작업한 축산물을 수송해 상장한다는 방안에 대해선 이동에 따른 감량과 수송비등이 농가부담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품질저하에 따른 유통인들의 구매력이 저하돼 실효적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박대표는 현재 “생산자·유통인·관련산업 종사자등으로 구성된 농협 서울축산물공판장 도축기능 폐쇄 대책위원회는 오는 26일 가락시장에서 1천2백여명이 참석하는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며 “집회후에도 대안이 나오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은 더욱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며 축산물공판장 운영자이자 생산자단체인 농협중앙회의 적극적인 대책강구를 촉구했다.
관련부처인 농림부와 개설자인 서울시·운영자인 농협중앙회 모두가 양축농가와 소비자, 축산물 유통의 발전이라는 대의를 놓고 현실적인 대안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서울축산물공판장을 생활터전으로 삼고 있는 관계자들과 양축농가들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