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수 농림부 축산국장은 지난 20일 양계업계와의 간담회를 통해 백세미 문제에 대해 언급하며 이같이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김주수 국장이 『백세미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별다른 규제가 없었다』고 지적한뒤 『정부차원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했다. 김주수 국장은 또 닭뉴캣슬병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 지급과 관련 죽은 가축에 대해서는 보상금 지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그 사례가 없다고 지적, 다만 정부가 마련한 근절대책에 따라 백신 접종률이 8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타축종과의 형평성 지적에 대해서는 지난해까지 소 돼지 질병에 지급된 살처분 보상금이 50여억원 정도되나 지금당장 닭뉴캣슬병에 대해 살처분 보상금 지급이 이뤄질 경우 1백5억∼1백50억원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밝혔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뉴캣슬병 백신효과에 대한 논란에 대해 농림부는 접종 면역력이 생기기 이전에 감염이 이뤄졌거나 해당 농장의 주변에서 워낙 강력한 발생이 이뤄졌을 경우에 백신을 접종했더라도 질병이 발생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농림부는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백신공급이 일부 지역의 경우 호흡기 친화적제품과 장친화적 제품이냐에 따라 접종 방법이 차별화 돼야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안치 않고 공급한 것으로 지적,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업계 차원에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가금인플루엔자와 관련, 국내에서 발생이 지금까지는 약병원성이었으나 강병원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방역당국에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양계업계 관계자들은 닭뉴캣슬병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 지급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농가들이 신고를 기피, 초동방역이 불가능한 만큼 이 질병의 박멸을 위해서는 백신접종과 살처분 보상금 지급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타축종과의 살처분 보상비 예산까지 지적해가며 양계업계와의 형평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백세미 농가가 많은 지역이 닭뉴캣슬병의 진원지가 되는 등 각종 질병의 온상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역을 비롯한 어떠한 행정적 관리나 규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로인해 양계업계가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백세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은 물론 뉴캣슬병의 박멸도 백세미까지 연계해 대책을 세워야 할것이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편 이날 김주수 국장과의 간담회에는 대한양계협회 장대석 회장을 비롯해 협회 각분과별 위원장 및 대표자, 한국계육협회 관계자 등 총 12명이 참석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