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상수 농림부 축산경영과 사무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9.03 00:00:00

기사프린트

99년이후 산지소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비거세우의 가격이 많이 올라 거세우와의 가격차가 많이 좁혀져 있다. 한우가 수입쇠고기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품질을 고급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소는 거세하지 않을 경우 1등급이상의 고급육은 2% 수준에 불과한데 반해 3등급 출현율은 80% 수준으로 고급육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거세우는 3등급 출현율은 10% 수준인데 반해 1등급 이상의 고급육 출현율은 50% 수준에 육박하고 있어 수소는 고급육 생산을 위해서는 거세가 필수적이다.
거세우가 비거세우에 비해 사육기간이 2∼3개월 가량 더 소요됨에 따라 추가사육비용을 감안하더라도 거세우가 비거세우에 비해 마리당 35∼45만원 수준의 소득증가 효과가 있는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