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여원유차등가격제’를 상정한 낙농진흥회 이사회가 지난달 28일·30일 잇달아 개최됐으나 생산자·유가공업체를 대표한 이사들이 이견을 좁히지 못함에 따라 무산됐다. 이번 이사회는 안건 상정후 서로의 입장차이만을 확인하고 표결처리조차 못해 가결도 부결도 아닌 상태로 마감됐다. 정부에선 서성배 축산국장과 이재용 축산경영과장이 연이틀 이사회에 참석, 이사들과 이사회 참관을 요구하며 상경한 각 지역 낙농가들을 면담하며 ‘잉여원유차등가격제’ 도입의 불가피성을 역설했지만 결론을 보지 못했다. 이사회 첫날인 28일 낙농진흥회는 15명의 이사 전체가 참석한 가운데 이사회를 속개, 전차 이사회 의사록 접수와 낙진회 보고사항등의 안건을 손쉽게 처리했지만 심의·의결사항으로 상정된 잉여원유차등가격제에 대해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몇차례 정회 끝에 8시간만에 회의를 마치고 30일로 이사회를 넘겼다. 30일 속개된 이사회에서도 4시간여의 토론 끝에 이견만 확인한 상태에서 생산자 대표들인 김인식(낙농육우협회 전무)·김상초·손정렬(이상 낙농가) 이사가 오후 6시경 퇴장함에 따라 자동 무산됐다. 이 자리에선 의결하자는 안과 다음으로 미루자는 안이 비등했으나 낙농진흥회측에서 생산자들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결은 무의미한다는 판단아래 이사회를 종료했다. 낙농진흥회는 지난달 9일 66억8천만원(16%), 24일 45억8천만원(12%)의 잉여원유대금을 지급치 못했으며 오는 9일 50억원대의 유대를 또다시 미지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에선 주어진 예산을 이미 초과 지출한 상태에서 우유수급불균형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자구책이 없는 상태라면 연말까지도 유대 미지급 상태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기본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낙농가들은 낙농진흥회 이사회가 열리는 이틀동안 경기도 가평, 포천, 이천과 전북 정읍, 경남 함안등에서 총 60여명이 상경, 낙농진흥회 이사회 참관을 요구하며 낙농가들만이 고통을 감내하라는 것이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