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되면서 배합사료업체들의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물론 천하제일사료와 퓨리나코리아, 제일제당, 삼양사 등 몇몇 업체들은 이미 몇 전부터 HACCP를 도입, '사료도 식품'이라는 개념으로 사료를 생산해 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 7월부터 PL법이 시행되자 우성사료를 비롯, 대상사료, 두산사료, 도드람사료 등도 HACCP를 도입, 안전하고 품질좋은 사료 생산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이처럼 HACCP를 시행하고 있는 업체들이외에도 앞으로 시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업체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시행을 해야 되겠다는 인식만 하고 있지 새로운 투자를 머뭇거리는 일부 업체도 있어 품질위주 시대에 뒤떨어지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갈수록 안전하고 고품질을 선호하는 국민들의 식생활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HACCP라는 제도를 도입, 객관적인 안전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