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협이 총체보리 조사료생산사업 중심돼야

농협 노경상 상무 지적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11.15 00:00:00

기사프린트

농림부가 조사료생산기반 확대와 경종농가들의 소득안정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총체보리 조사료생산사업’을 실시하면서 이 사업을 축산업과 경종농업 연결사업의 모델로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주목되고 있다.
농협중앙회 노경상 상무는 “이 사업이 단순한 조사료 생산사업이기 보다 농·축산업이 협력해 자연순환형 농업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전제하며 “조합이 당장의 수익보다 농가들의 소득안정을 이루고 전문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축협이 사업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최근 전남·북, 경남지역을 순회하며 ‘총체보리 조사료생산사업’ 설명회를 가진 노상무는 “양축농가를 위해 조사료 자급기반을 넓히는 작업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총체보리가 한우에는 마블링이 잘되고 젖소에는 볏짚보다 월등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만큼 축협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단위농협과 차별성을 갖는 경제사업으로 이 사업의 연결체로 적극 나설 것”을 희망했다.
이 사업이 활성화되면 논에서 조사료를 생산해 가축에 급여한 후 축산분뇨를 다시 경종농업에 투입하는 자연순환형 모델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 노상무의 주장이다. 노상무는 국내 조사료생산기반을 넓힌다는 면에서 보면 이 사업은 수입대체 효과까지 거둬 국가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올해 1만2천5백ha를 총체보리 사업으로 시군을 통해 신청을 받아 kg당 최저 90원 수준에서 양축농가에 공급토록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 연결체는 농·축협, 영농조합법인, 낙우회등이 되며 연결체에는 톤당 7만원이 비닐값, 기계임대비, 운송비, 수수료등으로 지원된다.
농림부와 농협중앙회는 지난 11일 조사료생산사업추진반을 발족, 16일까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사업 활성화에 주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