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영순)이 농림부 등 관련부서와 함께 '국가항생제 내성 안전관리사업'에 착수키로 함에 따라 축산농가에서는 철저한 휴약기간 준수 등 항생제 사용에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농림부와 국립보건원 해양수산부 등 관련부처와 공동으로 국가항생제 내성안전관리사업에 착수하겠다고 설명했다. 식약청은 이를 위해 1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식약청내 식품평가부 식품미생물과를 중심으로 관련부터 관계자들과 수차례 회의를 가졌으며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도 이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관련 기관이나 학계 전문가들로 `항생제 내성 국가 전문가 위원회'(가칭)를 구성, 이 사업 방향에 대한 자문을 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식약청의 이같은 방침은 슈퍼박테리아등 항생제 오남용에 따른 폐해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항생제 오남용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파악을 위한 것으로 관련업계는 풀이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국내 동물약품업계는 이미 예견했던 것으로 반대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보이고 있다. 이들 동물약품 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지난해 소비자보호원에서 문제제기를 한바 있어 니트라프란(후라졸리돈)등에 대한 사용을 금지키로 하는 등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동물약품 업계 관계자들은 식약청의 이같은 방침에는 반대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도 모든 것은 합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특히 축산농가도 보호해야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민보건이 우선시 돼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축산물이 생산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이 금지된 약품의 사용을 사용하지 않고 휴약기간을 준수하는 등의 농가단위에서도 이를 위한 대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