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유전자원 보존과 이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농림부가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놨다. 사실 동물유전자원 보존은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국가사업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체계적 보존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돼 왔다. 더욱이 최근 생명공학소재로서 재래가축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반면 외래품종에 대한 대체 또는 교잡으로 국내 재래종의 멸종 우려와 함께 자연 생태계와 환경 파괴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이용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제적으로는 유전자원의 지적재산권 문제가 대두되면서 후진국과 선진국간에 유전자원에 대한 소유권 분쟁이 시작되어 각국이 유전자원 확보를 위한 선점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까지 한 실정이다. FAO 식량농업유전자원위원회에서는 지난 99년부터 유전자원보존에 관해 논의중에 있으며, 오는 2006년까지 세계동물유전자원현황 1차보고서를 완성하고, 가축유전자원관리를 위한 세계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농림부는 동물유전자원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해 축산법에 동물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동물유전자원의 보존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규정을 신설했다. 또 FAO의 권고에 의한 국내 '동물유전자원관리국가 자문위원회'를 축산기술연구소에 설치하고, 여기에서 FAO 컨트리 리포트 준비 주체로 활동, 국내 동물유전자원의 실태 조사·자료수집·효율적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술지원과 국내 동물유전자원보존 및 관리에 관한 국가전력 수립 자문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동물자원보존 관련 법령 및 규정 심의와 정책개발 건의 등도 하게 된다. 농림부는 국내 동물유전자원 보존 및 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축산기술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동물유전자원을 보존 및 관리하되, 유관기관·단체간에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도 축산기술연구기관을 '지역동물유전자원센타'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동물유전자원의 보존·이용을 위해 동물유전자 은행(Gene Bank) 설립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생식세포 보존 및 동물유전자원 정보의 중앙 집중화 관리를 통한 유전자 보전, 증식 및 DNA 공동연구 이용과 보존 및 증식 외에 DNA 분석 등 유전적 특성을 파악해 데이터 베이스화하겠다는 것이다. 동물유전자원의 활용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 강화를 위해 유전적 특성 및 새로운 유전자 구명으로 종축 선발의 정확성 향상을 통한 가축개량을 촉진, 우수 동물유전자원은 가축개량기관을 통해 고급 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축육종 및 개량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유전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FAO 등 국제기구의 동물유전자원 보존전략에 능동적 참여와 국내외 연구기관간 기술교류도 증대한다는 계획이다. 김영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