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분처리의 효율적인 퇴비화를 위해서는 시설이나 기술보다는 축분처리에 대한 운영 마인드가 변해야 한다” (사)축산환경협회(회장 정영채) 주체로 지난 29일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구 축협중앙회)열린 '가축분뇨의 퇴비화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축산기술연구소의 곽정훈 연구사가 이같이 강조했다. 곽 연구사는 이와 함께 농장주는 농장의 경영과 축분처리 업무만을 전담해야 하며 기술이나 시설의 보완보다는 마음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곽 연구사는 “농장의 축분처리 시설을 만들 때 축분처리를 잘하는 농장 자세히 살펴봐야 하며 이때 시설보다는 농장주의 운영 마인드를 배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 연구사가 이같이 강조하고 있는 것은 그동안 현장 시험을 통해 처리시설마다 그 효과가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농장주의 축분처리시설 운영마인드의 차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곽정훈 연구사의 주제발표에 이어 농협중앙회 김제육가공공장 김강희 농가지원부장을 비롯해 논산축협 유기질비료공장 김춘식 과장, 이코어테크의 강원구 대표 등이 퇴비화의 문제점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김강희 부장(농협 김제육가공공장 농가지원부)=가축분뇨의 퇴비화에 따른 문제점은 수분조절재의 구입 비용 과다, 수분함수율이 높은 슬러지 처리의 곤란으로 중도 포기, 생산된 축분비료의 판로 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퇴비화 처리에 있어서 안정된 발효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소프트적기술과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농림부에서 비료관리법상 퇴비등급제를 도입해 축분비료 판매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렬 부회장(대한양돈협회)=축분비료의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화학비료에 지원되는 보조금을 축분비료로 전환해야 한다. 특히 현장에서의 축분처리는 이론처럼 쉽게 이뤄지기 어렵다. 농장을 운영하다보면 질병, 경영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한두가지가 아니고 분뇨처리를 전담할 인력 확보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현장에 설치돼 있는 축분처리 시설이 운영이 어려운 것은 근본적으로 기계시설이 고가이고 설치 업체들의 영세해 사후관리가 어렵다는 점이다. ▲강원구 대표(이코어테크)=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서는 축산분뇨처리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전제하고 모든 농가에 일률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농장의 여건에 맞는 다양한 처리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축산농가는 수익을 얻기 위해 가축을 기르는 만큼 분뇨처리 비용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축분처리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소요되고 있는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아무리 훌륭한 축분처리 시설이라도 정상 가동을 하지 못하면 고철에 불과하다며 농장주가 직접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춘식 과장(논산축협 유기질비료공장)=축분퇴비의 유통과 관련 화학비료에 비해 높은 생산비로 인해 유통과정중 적자가 발생 유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용시기 역시 시기적, 지리적으로 편중됨에 따라 개별 시설 운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축분비료 유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엄격한 생산과 품질관리가 가능한 대규모 공동시설을 활용해 체계적으로 유통시켜야 할 것, 즉 축분퇴비유통센터를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축분퇴비는 화학비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비효를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에 저수분, 압축된 고품질의 '입상퇴비' 생산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