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에 있어 가축분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이젠 축산업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만큼 가축분뇨가 축산업의 현안 중 현안으로 꼽히고 있다. 심지어 가축질병과 같은 차원에서 가축분뇨와 전쟁이라도 하듯 가축분뇨의 해결 없이는 친환경축산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가 됐다. 이런 인식하에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데다 경제성 면에서도 가장 앞서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가축분뇨 발효액비화를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그곳이 바로 충청남도. 충남도가 가축분뇨 액비화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두 말할 나위 없이 충남도 한근철 축산과장의 혁혁한 역할 때문. 한 과장은 가축분뇨의 생산자인 축산농가와 이를 소비하는 소비자인 경종농가가 윈-윈 하기 위해서는 바로 가축분뇨 발효액비화 이외에는 별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보고 가축분뇨 액비화에 적극 나서게 된 것. "가축분뇨의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액비화 입니다. 이제 축산의 성패를 액비화에 걸어야 한다고 봅니다. 액비화가 가장 경제적인 가축분뇨 해결책이기 때문입니다." 한 과장은 이처럼 액비화야 말로 가축분뇨 해결의 첩경임을 확신하면서 액비야말로 땅에 환원시키니 흙 살려서 좋고, 축산농가는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좋은데다 경종농가는 이 액비를 사용함으로써 수확량도 늘어나고 품질도 좋고 맛도 좋으니 소비자들로부터 감동을 받으서 좋으니 한마디로 일석다조의 효과를 올리고 있다고 강조한다. "축산농가는 가축분뇨를 그냥 버리는 폐기물로 인식하기 보다는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품질 좋은 발효액비를 생산해 경종농가가 찾아서 쓸 수 있도록 하면서 나중에는 없어서 못 팔 정도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한 과장은 품질 좋은 액비라는 것은 분과 뇨가 자연스럽게 혼합이 되어 비료로서의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그렇게 함으로써 경종농가가 우려하는 부분을 불식시키고 오히려 액비를 써야만이 높은 가격에 좋은 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다. 실제로 한 과장은 발효액비를 사용해 경작한 쌀을 먹어보니 기름기가 번지르르 흐르는데다 맛도 기가막혀 액비가 유기질비료로서의 가치가 더 말할 나위 없이 좋음을 역설한다. 한 과장은 발효액비가 화학비료보다 좋다는 것은 써 보기만 하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하면서 한마디로 발효액비농법으로 경작한 농산물에서는 '제맛'이 그대로 베어 있음을 재차 역설한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액비라도 운반에서부터 살포에 이르기까지 농가에서 직접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님을 지적하는 한 과장은 이의 해결책으로 이를 대신 운반, 살포해 주는 이른바 전문대행업체에 맡기는 방법을 제시한다. 전문용역업체에서 이를 대행하게 되면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어 특히 경종농가에서 우려하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한 과장은 앞으로도 액비의 활용도 제고 및 축분비료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액비저장조 설치 사업을 포함한 자원화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친환경농업과 연계한 액비화사업을 1백8개소로 확대할 것임을 밝힌다. 이와 더불어 가축분뇨 악취제거 및 부숙제 부분도 확대 지원하는 한편 액비화사업에 대한 경종농가의 인식 전환 유도를 위해 연시회라든가 평가회 등을 통해 체계적인 농가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임도 밝힌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