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중심시장인 서울축산물공판장이 인근지역 아파트주민들의 민원제기로 발생된 내년 3월말 도축기능폐쇄를 저지하기 위한 분주하다. 이같은 움직임은 당초 지난 8월 인근 아파트주민 대표들이 5년간 도축기능폐쇄를 유보하되 7억원을 보상금으로 받고 5년이후 계속 도축기능을 유지할 경우 년간 1억4천만원씩을 지급받는 것으로 민원을 철회키로 합의했으나 지난달 초 주민을 상대로 한 공청회를 통해 합의파기를 일방적으로 통보해와 도축기능유지에 적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다. 시장개설권자인 서울시는 소음 및 환경민원을 공판장과 주민들이 합의해 해결하면 도축기능폐쇄 결정을 다시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지만 주민들의 일방적 합의파기에 따라 어떤 결정을 내릴지 미지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서울시는 서로 합의하면 그 내용을 토대로 도축기능폐쇄는 재조정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주민들중 극렬반대자들은 보상액을 받더라도 가구당 10만원도 안되는 금액이라며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공판장은 중심시장으로 도축기능유지를 위해 주민들과 언제든지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편 일부 생산자들은 “협동조합중앙회 공판장이 수익을 내면 당연히 양축조합원들에게 환원사업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익금중 일부가 민원을 제기한 인근 소비자들에게 투입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