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HACCP 시행 정책의지 확고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0.12.04 17:31:39

기사프린트

HACCP에 대한 관련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대소비자 홍보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정부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HACCP 시행을 당초 계획대로 강력히 추진해 나갈 것임을 못박았다.
한국계육협회와 한국육가공협회 및 한국유가공협회가 공동주최하고 농림부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한국식품개발연구원 후원하에 본지 주관으로 지난달 29일 개최된 「HACCP의 효율적인 추진과 조기정착 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샵」에서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적극적인 대소비자 홍보 전개와 일관되고 강력한 의지를 정부에 주문했다.
이날 워크샵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서울대 이영순 학장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통해 HACCP시행업체가 실질적인 혜택을 볼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따라서 이같은 홍보는 HACCP 저변확대를 위한 필수사항인 만큼 당국의 구체적인 방안수립과 지속적인 수행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한국유가공품질보증회 이만재 회장과 (주)하림의 이명우 HACCP팀장, 대상농장(주)의 이인희 품질관리팀장, (주)애그리브랜드 퓨리나 코리아 여태현 품질경영팀 이사 등 지정토론자들도 민간 차원의 언론매개체등을 통한 대소비자 홍보가 경제적 부담은 물론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만큼 정부가 홍보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 안전과 곽형근 과장은 『공익광고협의회를 통한 대소비자 홍보는 기대하기 힘들다』며 정부의 일정부분 지원을 전제로 관련업계가 공동홍보기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대해 농림부 가축위생과의 장기윤 사무관은 『업계에서 먼저 행동을 취할 경우 정부도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장사무관은 『HACCP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못박고 『어떠한 일이 있어도 정부는 뒤로 물러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한편 강원대 홍종해 교수는 부처간 차이가 없는 일관성있는 HACCP 적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표준화와 함께 철저한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식품개발연구원 김명호 규격인증연구팀장은 제품의 특성에 맞는 HACCP 관리체제의 개발 및 보장과 관련 정보의 제공체계 확보, 기존관리방법과의 조화를 강조하고 품목별 HACCP 전문인력 자격관리 및 등록제도를 통한 인력 POOL제의 시행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밖에 부분육 및 육가공품 생산 부문으로의 HACCP 확대 적용을 위한 모델 개발과 제시를 비롯해 실제 유통부문에서도 HACCP가 접목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기도 했다.
이일호 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