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돼지콜레라나 구제역 상황을 지켜보면서 나 혼자만이 아닌 이웃 모두가 함께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실을 피부로 실감하였고 또 어는 특정 지역만 잘 한다고 되는 일도 아니며, 극히 작은 점 하나가 국가 전체에 커다란 충격을 줄 수 있음을 알게 됐다. 그렇지만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면 허술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리 양돈 농가들이 이들 문제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사고를 갖고 대처해 나갔으며 좋겠다. 농장 소독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나 추운 겨울철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소독 장비가 없는 곳이 많고 차단 방역을 아무리 강조했어도 출하차량이나 기사들의 안전수칙이 무시되기 일쑤며 '떨이돼지'로 인해 오제스키 양성돈을 구입, 주변을 오염시키는 사례가 종종 있는 것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밖에도 방역의 구멍이 너무 많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우선 내 농장부터 주변을 보면 내 이웃이 잘 할 수 있도록 격려해 가며 지역 양돈인들이 단합하여 문제를 풀어가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주 쉬운 일 같지만 아직까지도 우리는 마음을 열지 못하고 있다. 지역마다 양돈인들의 힘을 모을 수 있는 유일한 대상은 양돈협회 조직일 것이다. 힘을 모아 주어야 필요한 부분들의 대안을 마련하고 대회 협상력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남아도는 수출부위의 소비를 확대하고 축분을 자원화 시키는 등 남이 해줄 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참여할 때만이 실효성 있는 대안이 마련되고 그 시기도 앞당길 수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발생된 구제역이나 돼지콜레라가 종식된다 하더라도 국내외적 상황을 보면 이들 질병의 재발 가능성은 높을 수밖에 없다. 올해 발생한 구제역이나 돼지콜레라 모두 해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국경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지만 개선책은 미흡하기만 하다. 각 개별 농가들은 차단 방역을 철저히 하여 발생을 막아야 한다는 명제는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강둑이 무너진 상황에서 논두렁 막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국경 검역에 허점이 없도록 당국의 획기적인 개선 대책을 촉구한다. 또 이들 질병이 발생할 때마다 지적됐던 문제점들이 그대로 반복되는 모습을 볼 때 참으로 답답하다. 경험을 토대로 한 착실한 준비만이 만약의 상황을 대비할 때만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돼지콜레라비상대책본부로 출발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의 운영이나 방역요원들의 역할에 대한 대폭 개선이 필요한 시기이다. 출범당시에는 유일한 대안이었고 그 결과 청정화 목표를 달성했으나 이제는 지역 농가 방역 지도와 긴급 상황 발생시 기동반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한 단계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역 요원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우선 마련돼야 할 것이다. 수출을 재개하고 외국의 저가 양돈산물의 수입 억제 장벽을 마련키 위해서는 돼지콜레라나 구제역 청정화 목표는 포기할 수 없다. 그러나 수출을 전제로 한 수급 정책에서 탈피하고 내수, 특히 수출부위 소비 확대를 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만이 수출 중단으로 인한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양돈산업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는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또 생산 활동 못지 않게 양돈인들이 짊어져야 할 사회적 책임과 관심에도 눈을 돌려 이웃을 생각하는 아량도 필요하다. 양돈협회가 벌이고 있는 '불우이웃에 돼지고기 보내기'운동이 하나의 예이다. 이러한 일들은 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양돈 지도자들의 계도적인 역할을 통해 좀더 많은 양돈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함으로써 양돈인들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