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식품 관리체계 생산-소비 일관돼야

축산인들, 일부 관리주체 놀란 재연조짐에 반발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1.09 14:09:23

기사프린트

축산식품의 관리 주체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축산인들은 축산식품은 원료 생산에서부터 제품의 소비까지 일관된 시스템으로 관리돼야하는 만큼 현행대로 농림부에서 관장해야 된다는 의견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이는 이번 16대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식품에 대한 안전성 강화를 위해 민·관합동의 정부조직진단위원회를 설치·운영해 다원화되어 있는 식품관리체계의 일원화를 추진한다"는 공약이 보건분야에 포함되면서부터 다시 불거지게 된 것.
이와 관련, 수의전문가와 관련 축산인들은 "축산물은 가축사육단계에서 오염된 대장균 O157:H7, 항생물질 등이 최종제품에 잔류, 공중위생상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무엇보다 가축사육단계에서의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만약 가축사육단계를 생략하고 축산물(육류) 유통단계에서부터 오염된 항생물질, 중금속 등을 모니터링 검사로 찾아내어 제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완벽한 축산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축산물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일관된 안전 관리 시스템이 유지돼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행 농림부에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제도가 바로 그런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미국 등 여러 선진국에서도 축산물에 대한 위생관리는 대부분 농림부와 같은 생산부에서 담당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축산물에 대한 위생관리 업무가 보건부서로 이관될 경우 가축질병 관련 사항은 농림부, 공중위생관련사항은 보건부서로 이원화되어 있어 위생관리에 어려움은 물론 수입축산물에 대한 위생정보 부족으로 사후관리에 애로가 발생할 것임을 우려하고 있다.
한편 축산물가공품에 대한 위생관리업무는 1985년까지는 농림부에서, 1985년부터는 복지부로 이관되었다가 1997년 다시 농림부로 재이관됐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