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업계가 불황타개를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강력히 호소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1년 6월 이후 큰폭의 오리고기 소비위축에 따른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1년반이 넘도록 극심한 불황에 허덕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리고기무료시식회를 통한 소비확대노력과 생산감축 등 다각적인 자구책 전개에도 불구하고 불황이 쉽게 해소되지는 않은 채 관련업체들의 도산이 이어지자 업계내부에서는 정부의 무관심에 대한 불만과 함께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계열화업체 산하 부화장을 비롯한 오리부화장들은 지난해 4월 한달간 부화기내에 입란된 종란 30%(1백50만개)를 자율폐기한데 지난 11월25일부터는 두달간에 걸쳐 새끼오리 생산량의 40% 물량 감축에 나서는 등 자구노력의 강도를 더욱 높여온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민간차원의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리업계 불황은 쉽사리 해소되지 못한채 지금까지 12개부화장이 문을 닫으며 이제 업계 전반에 걸쳐 도산의 공포가 팽배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 부화장 대표는 "간신히 연명하고는 있으나 이젠 공과금도 못낼 형편"이라고 어려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자 오리업계에서는 "업계가 고사직전임에도 팔짱만 끼고 있는 정부에게 오리산업은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다"는 푸념과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한국오리협회 김규중회장은 "오리산업의 총생산액(오리알포함 5천억원 추정)이 농업부문 전체의 12위권 오를 만큼 매출규모가 큰 산업임인데 반해 지금까지 정부지원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주요축종이나 비슷한 산업규모인 마늘에 대한 관심의 10%정도만 오리산업에 할애 했어도 이정도까지 무너지진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따라 오리업계에서는 민간차원의 자구노력도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 근본적인 불황해소책으로 꼽히고 있는 종오리감축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