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의 축산국장이나 담당 과장들이 소신껏 정책을 펼 수 있게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특히 장기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투자효과가 더딘 한우분야를 놓고 보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우정책의 핵심은 여하히 우수한 송아지를 저렴하게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느냐에 있다. 그동안 한우산업종합대책을 세우고 한우경쟁력 제고사업 등의 명목으로 많은 정책자금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한우산업의 경쟁력이 취약한 것은 번식기반 확충에 투자를 소홀히 하였기 때문이다. 이제부터라도 10년, 20년 걸려 큰 길을 닦는 마음가짐으로 한우산업이 자생력을 가지고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꾸준히 투자하여야 한다. 군단위 지역조합에서도 관내 한우농가를 조직화하여 여러가지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우개량단지의 번식기지화, 한우 공공육성목장, 송아지유치원, 번식우 임대축사 제도에 과감히 투자하여야 한다. 번식농가와 비육농가를 아우르며 지자체, 농협, 축협, 유통업체가 사업부문별로 전략적 제휴를 꾀하는 모델도 확산되어야 한다. 지역여건에 따라서는 지자체나 협동조합이 공동으로 한우 지원조직을 운영하여 육성우 사육, 사료조달, 분뇨처리, 방역, 컨설팅 등 주변부문을 실비만 받고 대행해줌으로써 한우농가의 경영을 가볍게 하고 핵심부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브랜드화는 품질인증과 안전성확보를 위한 추적시스템을 견고하게 구축하면서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축협이나 중앙회 차원에서 한우의 부분계열화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때 대가축 계열화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공소유, 민간경영 형태의 축산물종합처리장이 되도록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