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기술연구회(회장 권오광)는 지난 16일 중국 북경에서 중국유업과 유업기술교류회를 가졌다. 이날 중국 농업부축산국 이역방(李易方)국장이 발표한 중국 농업정책중 낙농분야만 발췌,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편집자 중국유업은 최근 20여년간 신속하게 발전하여 산업화경영으로 폭넓게 발전하여 왔다. 중국 낙농업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고, 특히 초지가 많은 목축지역의 소수민족은 일찍부터 우유와 유제품을 식용하는 습관이 있었지만 낙농산업은 영세하고 기반이 취약하였다. 1949년 전국 낙농관련 산업 통계를 보면, 우량종 및 개량종 젖소가 12만마리, 우유 총 생산량이 21.7만톤 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1978년이후 실시한 개혁개방정책이 농민들의 적극성을 불러일으켜 젖소 사육붐 조성과 함께 유제품가공업이 신속하게 발전하였다. 통계에 의하면 2001년말 우량종 및 개량종 젖소가 5백66만2천만마리이며, 유제품 총 생산량이 1천1백22만9천톤이다. 그 중에서 우유가 1,025.5만톤이다. 이는 1978년과 비교할 때 젖소는 11.57배가 늘어난 것이며, 유제품은 11.6배로 증가된 것이다. 매년 12.7%의 성장율 보여왔다. 시중에 나오는 액체상태 우유는 2백80만톤으로 1996년의 5.4배(1995년전에는 통계숫자가 없음)이다. 2002년 1-9월분 우유 총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32.4% 증가하는등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낙농 관련 산업이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우유 및 유제품종류와 품종이 많아졌다. 중국유제품 공업협회통계에 의하면 2001년 시중에 나온 액체상태의 우유중에서 살균우유가 43%, 멸균우유가 3.5%이며 요그르트가 약 14.5%, 기타가 약 7.1% 였다. 분유도 전체 지방질 설탕분유로 생산하여 공급하여 영아분유가 28%, 기타분유(탈지분유, 중노년분유, 분유 등)가 26.2% 였다. 둘째, 우유소비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20세기 80년대로부터 90년대 초까지 중국 우유소비자가 주로 영유아와 노인들이고 그중에서 3세이하의 영유아가 60%, 60세 이상된 노인이 20% 였다. 1999년 북경, 천진, 서안 3도시의 조사에서 북경시 영유아의 우유소비량이 전체 소비량의 19%, 60세 이상 노인들이 28%, 기타 년령단계의 소비자가 53%를 차지하였다. 천진시 우유소비자 년령 구조는 2세이하의 영유아가 7%, 2-10세가 18%, 11-60세가 55%, 60세 이상이 20%를 차지하였다. 서안시의 영유아와 노년이 소비하는 우유소비량이 전체 우유소비량의 41%를 차지하였다. 이것으로 우유소비습관이 이미 여러 년령층까지 확대되었음을 볼 수 있다. 소비자의 직업구조로 볼 때 도시 주민중에서 우유소비가 보편화된 추세이다. 셋째, 낙농업의 수입이 늘어났다. 원료우유의 수매가격이 좋아 농민들이 젖소를 사양하는 경제이익이 비교적 높다. 현재 젖소 한 마리를 사양하면 일년에 순수입이 2천∼3천원(元,)이며, 돼지 50-60마리를 키우는 것과 같아 많은 지역에서 농민들이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낙농 산업을 희망하고 있다. 넷째, 유업투자가 많아졌다. 계획경제체제시대에 유제품가공은 주로 국가기업에서 경영하였는데 현재는 젖소사양으로부터 유제품가공업과 판매업에 이르기까지 이미 다원화 투자, 다종 소유제가 공존하고 있다. 우수한 국가유제품기업은 발전중에서 강대해지고 민영기업도 계속 유업에 투자하고 있다. 국제자본도 중국 낙농업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보고 앞다투어 중국에 투자를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25위에 가는 외국유제품 회사중에서 이미 13개 회사가 중국에 들어왔다. 2001년 "三資"(외국인 독자기업, 중외합자기업, 합작기업)유제품기업의 총 생산액이 이미 중국 유제품공업 총 생산액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유업과 산업이 함께 발전한다. 선두기업은 유업산업화경영에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하고 있으며 "기업+기지+농가"의 형태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일부 대형유제품기업과 기업화 단지가 새롭게 만들어져 자산을 합병하고 재조직하여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유제품공업협회통계에 의하면 2001년 10등안에 들어간 유제품기업(光明, 伊利, 三鹿, 三元, 蒙牛, 完達山 등)에서 판매한 수입이 모두 1백28억5천만원(元)으로 2000년(10.4억元)에 비해 51% 증가하였다. 분유생산량이 28만5천톤으로 전국분유 총 생산량의 42.3%를 차지하며 2000년(17.8만톤)에 비해 44.9% 증가하였고 액체우유생산량이 1백36만4천톤으로 전국 액체우유 총 생산량의 48.7%를 차지하며 2000년(87.6만톤)에 비해 55.7% 증가하였다. 대형기업, 기업집단이 활발한 활동으로 중국 유제품기업에서 이미 중요한 지위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