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는 이를 위해 낙농전문가들로 구성된 Task Force를 구성, 이미 가동에 들어갔으며, 여기서 원유수급 불균형 해소책과 특히 DDA(도하개발아젠다) 이후 어떻게 하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인지 등의 내용을 핵심으로 한 중장기적인 낙농 방향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농림부에 따르면 낙농전문가들이 논의하게 될 주요 낙농정책 방향은 수요에 알맞는 적정생산을 할 수 있는 방안에다 시장경제원리를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도 논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뿐만 아니라 시장상황에 따른 원유가격의 탄력적 적용을 위해 매년 원유가격 가이드라인을 설정, 운용하는 원유산정체계를 보완하는 작업도 동시에 이뤄지게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낙농전문가들은 낙농진흥회 기능개편 등 집유일원화 사업과 원유수급안정 대책 추진 법령 및 규정을 전면 개정 또는 보완하는 작업도 하게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농가 스스로 생산부터 판매까지 할 수 있는 농가형 소규모 유가공 시스템 활성화 방안 등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의 경쟁력 있는 낙농대책에 대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영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