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유자돈의 설사병 저항성 유전자 진단기법 개발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2.03 11:01:38

기사프린트

최근 겨울철에 양돈장에서 유행하고 있는 돼지바이러스성 설사병 발생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이유자돈의 설사병 저항성 유전자 진단기법이 개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진주산업대 김철욱 교수팀은 지난해 '이유자돈의 설사병 저항성 유전자 진단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유전자 진단기법은 6번 염색체에 있는 돼지 설사병 민감성 유전자인 FUT 1 유전자에 의한 것으로 307번째 염기인 구아닌(G)이 아데닌(A)으로 유전자 변이가 발생되면 돼지 설사병에 대한 저항이 생기게 되므로 AS-PCR 기법에 의해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번 이유자돈의 설사병 저항성 유전자 진단기법을 개발함에 따라 돼지 설사병의 저항성 돼지와 감수성이 높은 돼지를 식별해 농장에서 적절한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농장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김 교수는 “유전자 진단기법을 이용해 설사 저항성을 가진 종돈을 선발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각종 질병을 예방 할 수 있고 질병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돼지 설사병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폐사율이 높아 농장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또 일단 설사병에 감염된 경우 회복됐다 하더라도 성장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저항성이 약해져 각종 질병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 농장에 주의가 필요한 질병이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