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우유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정책 마련에 앞서 낙농가들이 최근의 낙농 상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낙농지도자에 대한 충분한 홍보 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우유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계획 생산을 통한 감산과 우유 소비 확대를 위해 우유 소비 촉진 전담기구의 설치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본지가 마련한 '새정부 축산정책중 낙농정책의 틀을 어떻게 짤 것인가'라는 주제의 긴급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그동안 국내외 낙농 상황 변화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각종 낙농 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하고 앞으로 낙농정책 수립에 있어서 낙농 농가들이 현재 낙농업이 처해 있는 상황을 충분히 인식토록 한 다음 새로운 낙농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참석자들은 원유 계획 생산과 함께 우유 소비 확대를 위해 현재 여러 단체에 분산된 우유 소비 촉진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전담기구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옥향 은아목장 대표는 "그동안 나름대로 소비 촉진 운동을 펼쳐본 결과 우유 소비 촉진 운동 창구가 단일화 돼 있지 않아 효율적인 소비 촉진 운동이 어려웠다"고 말하고 이같이 전담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윤여임 조란목장 대표는 우유소비 촉진 전담기구와 함께 "우유 소비 촉진을 위한 전문 인력 육성, 우유학교 설립등도 아울러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우유 소비 홍보와 관련, 낙농가들이 유업체도 우유 소비 홍보 비용의 일부를 분담해야 한다고 지적한데 대해 유가공협회에서는 "동감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