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한국축산경영학회가 개최한 신 정부에 바라는 축산정책 심포지엄에서 농림부 김달중 축산국장이 이같이 밝혔다. 김 국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농업에서도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WTO체제하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지난해 구제역, 돼지콜레라 등 가축질병 발생 등으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새정부에서는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는 친환경 축산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또 잘하는 농가는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뒤떨어지는 농가는 벤치마킹 등을 통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지만 따라올 수 없는 농가들은 농업을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국장은 생산단계에서부터 고품질 안전 축산물 생산을 통해 외국산 축산물과 차별화 시켜 소비자들이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소비자 지향적 농정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축산물 브랜드의 대형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종축에서부터 사양관리, 사료 통일을 통한 고품질 안전축산물 생산으로 고가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충남대학교의 박종수 교수는 '새 정부에 바라는 축산정책'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축산물의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대책, 유통구조 개선, 가축방역 및 위생의 개선방안, 환경 친화적 축산업이 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정토론에서는 한우분야에서는 강원대 이병오 교수가 양돈분야에서는 양돈협회 안기홍 전무가 낙농분야에서는 서울우유 이만재 전무가 양계분야에서는 한경대 장경만 교수가 각각 발표했으며 종합적으로 농협중앙회 조사부 황명철 차장이 발표했다. 한편 이날 정책 심포지엄에 이어 열린 축산경영학회 정기총회에서는 충남대 박종수 교수가 신임회장으로 선출됐으며 부회장에는 영남대 권오옥 교수와 전남대 조광호 교수가 각각 선임됐으며 감사에는 강원대 이병오 교수가 선임됐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