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제2주제:자급조사료의 생산·이용 확대 방안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2.19 11:56:16

기사프린트

■성경일 강원대 사료생산공학과 교수

조사료의 확보 및 활용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 조사료 자원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조사료원으로서 벼를 활용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품질이 양호한 조사료 수입과 함께 정책적·제도적 장치를 정비해야 한다.
국내 조사료 자원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초지관리·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존초지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며, 이는 바로 양질 조사료 확보 기능과 공익적 기능 함양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밭 작물과 함께 답리작 사료작물을 생산토록 하고, 볏짚 등 부존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도 조사료 유통체계를 구축하고, 경종농가와 양축농가의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국내산 조장조사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국내 적용 사료작물의 신품종을 육성하면서 동시에 조사료자원의 해외개발도 해야 한다.
조사료원으로서의 벼 활용을 해야 하는 이유는 쌀 수급 균형을 위한 재배면적 감소가 불가피한데다 조사료로서의 대체가 가능하며, 특히 2003년도 쌀생산조정제에 따른 벼 재배면적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품질이 양호한 조사료를 수입하는 한편 국내자원을 최대한 이용하되 부족물량에 대해 자유로운 수입이 허용돼야 한다.
국산조사료를 제조용 원료로 이용할 경우 수입조사료를 이용할 때의 가격차이 만큼 정부보조가 필요하며, 섬유질가공사료의 제조원료로 수입되는 사료용 근채류 등의 조사료는 무관세가 적용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