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조금 지원사업을 육계와 채란계로 구분, 실시해달라』 한국계육협회(회장 김홍국)는 최근 대정부 건의서를 통해 그동안 업종별로 이뤄지고 있는 정부의 자조금지원사업을 품목별로 세분화해 지원, 계육협회도 자조금 조성 및 지원대상에 포함이 되도록 해 줄 것을 거듭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현행 양계업의 자조금사업 대상자인 대한양계협회는 이러한 계육협회의 주장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종전의 입장을 고수, 양측의 첨예한 대립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계육협회는 건의서에서 현행 정부의 자조금 사업중 양계품목은 채란과 육계업을 통합, 자조금사업단체로 양계협회만을 지정해 운영해 왔으나 그 실적이 부진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반면 계육협회의 경우 지난 "95년부터 정부 지원없이 자체적으로 자조금 사업을 시행해 총 예산 30억원이라는 성과를 거두었을 뿐 아니라 올해까지 4억1천9백만원을 양계협회에 지원해 왔으나 자체 조성실적이 미미해 정부 보조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계육협회는 따라서 정부의 자조금 지원사업 중 양계품목 사업자를 채란과 육계로 분리, 채란업종은 현행대로 유지하되 육계업종은 한국계육협회로 지정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계육협회는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서 농안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자조금조성단체 범위가 법인경영체가 회원인 사단법인까지 확대된 만큼 계육협회를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대해 대한양계협회의 한관계자는 『정부가 규정한 자조금조성단체의 범위는 엄연히 생산자단체로 제한돼 있는 만큼 계육협회를 그 대상자로 포함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못밖고 다만 『양계협회의 자조금 조성실적이 부진한 상황에 계육협회의 홍보사업을 통해 육계농가들도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양계협회를 통해 자조금사업과 정부지원을 받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뜻있는 업계 전문가들은 『각단체들은 개별적인 이익을 떠나 양계업계 전체가 이익을 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근본적으로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적극 부응하고 전양계업계가 포용할 수 있는 전문화된 생산자조직의 체제정비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주문하고 있다. 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