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구제역, 돼지콜레라 등 발생으로 인해 입식, 이동, 경매 등 검정업무에 많은 지장을 받았으나 계획대비 97%인 2천1백32두 입식에 1천6백19두가 합격, 합격률은 76.3%로 전년보다 1.3% 정도 하락했다. 평균 경매가는 77만6천5백38원으로 전년대비 두당 2만3천4백96원으로 하락했다. ■ 검정성적 결과 - 일당증체량 수퇘지 평균 일당증체량은 1천22g 으로 전년대비 7g 향상됐으며 품종별로 듀록이 6g, 요크셔 2g 정도 향상됐다. 전체 검정성적을 보면 1천2백g 이상 고능력 검정돈 개체가 전체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개량량이 크게 향상돼 외국 원종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 등지방두께 등지방두께는 수퇘지가 1.32cm로 전년과 동일하며 암퇘지도 비슷한 수준으로 암퇘지 등지방두께는 개량목표 설정시 0.2cm 정도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사료요구량 수퇘지는 0.19kg, 암퇘지는 0.26kg이 줄어들었으며 품종별로 수퇘지의 경우 듀록이 0.17kg, 요크셔 0.21kg, 랜드레이스 0.21kg, 암퇘지의 경우 듀록 0.27kg, 요크셔 0.25kg, 랜드레이스 0.26kg이 각각 줄어들었다. - 90kg 도달일령 수퇘지 평균 1백34일 암퇘지 평균 1백38일로 전년대비 각각 2일, 3일이 단축됐으며 품종별로 수퇘지는 듀록과 요크셔가 1백33일, 암퇘지가 요크셔, 랜드레이스가 1백37일 1백38일을 나타났다. - 선발지수 수퇘지 평균 2백40점, 암퇘지 평균 2백30점으로 전년도에 비해 각각 8점과 12점이 상승했으며 품종별로 요크셔 수퇘지가 2백41점, 암퇘지 2백31점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현재 선발지수를 암수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에 현실에 맞는 선발지수식 개발이 절실하다. ■ 검정소 검정 개량기대효과 검정소 검정을 통해 분양된 경매돈을 경제적 가치로 산출한다면 수퇘지를 기준으로 두당 생산할 수 있는 자돈수를 8백두라고 가정했을 때 일당증체량, 사료요구량, 등지방두께 등 3가지 항목과 항목별로 개량차, 후대유전능력, 경제적 가치를 접목해 환산한다면 89년 검정개시 이후 총 3백72억원에 달하며 지난해만 에도 4억8천3백64만2천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다. 2002년도 제2검정소 검정결과 2002년 제2검정소 검정결과 전국 25개 종돈장에서 총 2천2백46두가 출품돼 계획대비 1백11%를 달성에 1천4백81두 분양에 평균 경개가격은 80만6천원을 기록했다. ■ 검정성적 결과 - 일당증체량 일당증체량은 평균 1천22g으로 이중 수퇘지가 1천39g으로 암퇘지 9백75g에 비해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수퇘지 중에는 듀록이 1천52g으로 가장 높았고 요크셔가 1천24g으로 가장 낮았다. 암퇘지중에는 듀록이 1천26g으로 가장 높았고 버크셔가 9백24g으로 가장 낮았다. - 등지방두께 등지방두께 전체 평균은 1.43cm였으며 품종별로 햄프셔 수컷(1.64cm)이 가장 두꺼웠고 버크셔 수컷(1.29cm)이 가장 얇았다. 듀록의 경우 수컷이 1.48cm, 암컷이 1.58cm였으며 요크셔는 수컷이 1.35cm, 암컷이 1.46cm, 랜드레이스는 수컷 1.35cm, 암컷 1.44cm를 나타냈다. - 사료요구량 사료요구량은 수퇘지 2.18kg에 비해 암퇘지가 2.29kg으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평균 2.21kg인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는데 듀록 수컷 2.18kg, 암컷 2.28kg, 요크셔 수컷 2.17kg, 암컷 2.29kg, 랜드레이스 수컷 2.18kg, 암컷 2.29kg을 기록했다. - 90kg도달일령 90kg도달일령은 전체 평균은 1백40일 이었으며 수퇘지는 1백39일, 암퇘지는 1백40일 이었다. 품종별로는 듀록이 수컷 1백36일, 암컷 1백33일로 가장 빨랐으며 버크셔 암컷 1백46일, 수컷 1백63일로 가장 길었다. - 선발지수 선발지수는 평균 2백33점으로 수퇘지가 2백36점으로 암퇘지 2백24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듀록 수컷 2백35점, 암컷 2백26점, 요크셔 수컷 2백36점, 암컷 2백23점, 랜드레이스 수컷 2백37점, 암컷 2백25점이었다. ■ 제2검정소 검정기대효과 지난해 2검정소에 출품한 농장은 충북을 제외하고 전국의 25개 종돈장에서 출품했으며 한국GP, 우정종돈, 그린팜스, 벡제축산, 성호농장, 제주농업시험장이 신규로 참여했다. 이를 통해 검정소 검정의 객관성과 공정성 그리고 활성화에 한몫을 했다고 판단되며 출품된 종돈의 능력 또한 평균 이상의 성적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