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국의 축산업 발전과 전망

정문섭과장(농림부총무과)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4.28 13:06:03

기사프린트

최근 중국 축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정작 중국 축산에 대한 정보는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농무관으로 활동한바 있는 정문섭농림부총무과장이 중국 현지에서 파악한 중국 축산의 발전과 전망에 대해 연재한다. 편집자

1. 축산업 발전개황

1978년 개혁개방이후 중국은 '농업생산책임제'를 시행하면서 축산업분야에서도 시장화가 단행되었다. 우선 축산물의 '일괄수매일괄판매정책'을 중지하고 가격의 자율화와 경영의 자율화 등 정책이 채택되었다. 국영, 집체, 개인경영을 병존시킴으로서 많은 농민들이 적극적으로 축산발전에 참여토록 하였다. 이에 따라 축산가정경영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으며 점차적으로 중국의 축산업발전에 있어서 제일 큰 활력을 주는 생산주체가 되었다. 또한 시장경제체제하에서 축산업의 자원배치에 대한 역할도 갈수록 커져갔다. 이와 동시에 각 지방에서도 축산업 기간시설과 투자를 늘리고 축산과학기술수준을 높임으로서 개혁개방 후의 짧은 20여 년 동안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어내었다. 육류, 알류에서 이미 세계에서 생산량 1위에 도달하고, 1인당 평균소비량 역시 세계 평균수준을 넘어서서 장기간의 축산물부족상황을 개선하였다. 축산업의 총생산액 역시 농업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폭 상승하여 축산업은 이미 농가의 부업에서 농업과 농촌경제의 지주산업으로 발전하였다. 국민의 축산물에 대한 소비수요에 부응하는 것뿐만 아니라 농민들의 재산증식, 재정수입 및 사회안정 등에도 중대한 공헌을 함으로서 새로운 발전시기에 진입하게 된 것이다.

가. 최근 20여 년간 축산업 생산의 주요성과

1) 생산능력이 크게 늘고 축산물의 부족상황을 개선시켰으며 총 생산량도 연이어서 신기록을 세워나갔다.
국가통계국의 통계에 따르면 육류의 총 생산량은 1980년에 1,205만 톤이던 것이 2000년에 6125만 톤으로 증가하여 매년 9%의 성장률을 보였다. 동시에 알류의 총 생산량은 257만 톤으로 증가하였고, 유제품은 137만 톤에서 919만 톤으로 늘어났다.
1인당 평균 축산물 소비량 역시 크게 늘었다. 1980년 중국의 1인당 평균 소비량은 육류 12.2Kg, 유제품 1.4Kg에서 2000년에는 각각 49.5Kg, 6.4Kg로 증가하였다. 육류의 1인 평균 소비량은 이미 세계 평균수준을 넘어섰으며, 그 중 돼지고기는 세계 평균수준의 2배 가까이 되고 알류의 1인 평균 소비량은 이미 선진국 수준에 다다랐다. 이처럼 동물성 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1인당 평균 곡물소비량은 오히려 대폭 떨어졌다 1986년 1인당 곡물소비량이 138Kg이었는데 2000년에는 84Kg으로 떨어졌다.
축산물의 구조가 점차적으로 개선되었다. 생산량과 1인당 평균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는 동시에 축산물 생산구조의 개선도 역시 두드러졌다. 육류의 총 생산량 중에서 돈육의 비중이 1980년 94%에서 현재는 66% 수준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가금육과 양육의 비중은 각각 21%, 4.5%로 높아졌다. 축산물 생산구조의 부단한 조정으로 중국의 축산업은 이미 식량의존정도를 점차적으로 낮추게 하여 국가의 자원상황에 적합한 식량절약형 구조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2) 시장에서의 비중이 커지고 전통적 조방식경영에서 집약화경영으로 바뀌게 되었다.
축산업은 다른 분야보다 시장화경영이 빠르게 진행된 산업이다. 시장경제의 발전은 축산업의 전문화와 집약화 그리고 지역화를 촉진시켰다. 1979년 중국정부가 농민으로부터 일괄수매한 것 외에 남는 잉여 축산물을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축산업의 민영유통경제와 단일화된 국영경제가 병존하게 되었다. 1985년에 생돈에 대하여 경영과 가격을 개방하고 그 후에도 계속하여 다른 축산물의 경영과 가격을 개방하였다. 1993년에는 쇠고기와 양고기 그리고 알류에 대한 일괄수매정책을 폐지하고 자유교역을 허용하였다. 이제는 축산물의 가격이 시세에 따라 매겨지고 다양한 유통구조가 병존하여 여러 가지 경영방식과 경제요소 그리고 여러 가지 경영주체들이 병존하고 경쟁하는 양호한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각 지역은 지역성을 갖춘 집체무역시장, 도매시장 및 소매시장이 수없이 분포되어 있으며 전국 규모의 전문시장도 점차 생겨나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축산물 유통과 시장체계는 이미 시장화의 기본적인 형식을 갖추게 된 것이다.
1980년대 초 중국의 축산업은 각 농가의 소규모 사육이 대부분이었다. 1980년대 중, 후반에 비로소 농촌에 축산업 전업농가와 적절하게 규모화된 농장이 늘어났고, 그 후에 갈수록 대형화되면서 수만, 수십만 두의 양계장, 수 만두의 양돈 전업농가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났다. 상품계란 생산을 위한 일정규모의 양계장, 규모화된 양돈, 양우, 양양 사육장이 신속하게 늘어갔다. 1990년대에 들어와 생산경영이 점차 구역화되어 육우, 생돈, 산양, 계란 등에서 모두 상대적으로 집중된 주생산지를 형성해나가기 시작했다. 東北, 中原에 이미 육우 주생산구역이 형성되고, 四川, 湖南, 山東, 河南, 湖北, 江西 등에도 돈육생산기지가 발전되었고, 東北지역도 원래의 소비지역에서 생산지역으로 바뀌었다. 가금류 사육업도 전통적인 생산구역개념이 사라지고 山東과 河北지역에 집중되면서 山東과 河北의 가금육 생산량이 전국의 1/3을 차지하게 되었다. 축산업은 현재 전통적인 방목경영을 벗어나 보다 현대화되고 전문화되고 구역화된 집약화경영으로 바뀌게 되었다.
최근 몇 년간 산업화경영이 경영제도의 혁신으로 정착되면서 축산업은 비교적 빠르게 발전하게 되었고 축산업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축산업은 비교적 높은 부가가치, 비교적 빨리 실시된 시장화경영, 비교적 쉽게 규모경제를 형성하는 등 특징 때문에 그 성과가 더욱 더 두드러지게 되었다. 현재 축산업에서 실시되고 있는 산업화경영의 조직형식은 선도기업형, 중개조직형, 도매시장형 등으로 나뉘어 지고 있으며, 합작사, 주식합작, 합동계약 등의 여러 가지 이익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나타나면서 보다 규모가 커진 산업화 경영기업들이 출현하였다. 예를 들면, 山東諸城外貿集團公司, 江西金牛集團 등이 그것이다. 산업화 경영체계로 경제잇점을 갖게 되어 그 리스크가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양축농가의 수입을 늘어나게 하고, 전체적인 경제효과와 취업증가를 높이고, 지방재정수입을 증가시키는 등 확실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