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콜레라에 이어 구제역마저 발생하게 되면 현행 살처분 정책에서 예방접종으로 전환할 것으로 알려지자 축산업계에서는 정부가 한국 축산업의 청정화를 포기하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림부는 최근 구제역 재발시 예방접종 방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내부방침을 마련하는 등 구제역 발생에 따른 살처분 매몰장소 애로와 동물 복지 등의 이유로 백신정책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뜻있는 축산인들과 수의전문가들은 돼지콜레라의 경우는 예방접종을 하게 되면 방어력이 있는 반면 구제역은 변이성이 매우 높아 백신으로 미리 대처하기가 어려워 백신을 접종한다하더라도 구제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예방접종한 가축들이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오랜동안 보독자로 남아 있을 수 있어 오히려 발생의 위험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백신으로 인한 구제역 상재지로 인식될 경우 해외 수출길이 막히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구제역 발생국가들로부터 축산물 수입을 막기 어렵다는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국내 축산업은 심각한 지경으로까지 내몰릴 수 있게 될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대만의 예를 보더라도 구제역 백신접종이후 최근까지 구제역이 계속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대만의 양돈산업은 이미 후퇴한 상태라는 것. 이들은 또 유럽도 구제역 예방접종을 중단한 후 살처분 정책에 근거한 방역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살처분 정책이 예방접종을 포함하는 다른 어느 방법보다고 경제적으로나 교역상으로나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구제역 발생에 따른 매몰장소 물색 등 살처분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하더라도 대승적 차원에서 예방접종보다는 현행 살처분정책으로 유지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영란 yrkim@chuksannes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