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인해 극심한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오리업계가 종오리 20%과 한달물량의 20%에 달하는 새끼오리(종란 포함) 감축에 나서는 파격적인 자구노력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 대책을 포함, 지난 2001년부터 수차례에 걸친 불황타개 몸부림에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별다른 지원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어 오리업계의 불만이 팽배해지고 있다. 오리부화장들은 지난달 29일 대전유성에서 모임을 갖고 자신들이 사육하고 있는 종오리의 20%를 감축키로 했다. 연간 종오리사육량이 20∼25만여수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할 때 적어도 4만수 이상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전국을 3개권역으로 나눠, 오리협회 등과 함께 감축시행여부를 교차 확인하되, 동참치 않는 부화장과는 거래를 하지 말 것을 유통업계에 요청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이달부터 생산되는 새끼오리의 20%도 아울러 감축하되 새끼오리가 생산되지 않는 부화장들은 종란상태에서 폐기처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오리업계의 이같은 감축계획은 3년간에 걸쳐 극심한 불황이 이어져오고 있는데다 최근에는 경기까지 침체, 많지 않은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급불균형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한편 오리업계는 이번 방침외에도 지난해 4월 종란 30%감축에 이어 같은해 11월25일부터는 두달간에 걸쳐 새끼오리 생산량의 40% 물량 감축에 나서는 등 자구노력의 강도를 높여온데다 소비촉진 사업도 적극 전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관심조차 두지 않고 있다며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오리협회 김규중 회장은 "업계차원에서는 불황타개를 위해 할수 있는 일은 모두 다 동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제, "그러나 주요 축종의 경우 가격이 떨어지기만해도 부산을 떠는 정부가 연간 5천여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해온 오리산업의 어려움에 대해선 '강건너 불구경식'으로 일관하고 있는 현실이 통탄스럽기만 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