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축산업은 재배농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추진하였다. 가) 식량의 轉化를 촉진시켰다. 1970년대 중기, 후기의 중국 축산업이 매년 소비하는 사료양식은 전체 식량 총수요량의 20%정도를 차지하였다. 1990년대 이후 이 비중은 신속하게 상승하여 2000년 축산업이 소비하는 사료양식의 비중이 32%~35%로 상승하였고 그 사료양식은 1억 6000만 톤에 이르렀다. 이 외에도 축산업의 발전은 대대적으로 농부산물의 유효한 이용과 재배농업의 전체적인 경제효과와 이익의 상승을 촉진하였다. 나) 재배농업의 구조조정을 촉진시켰다. 축산업의 발전에 맞추어 재배농업의 생산도 그에 상응하는 구조조정을 하였다. 옥수수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대폭 늘어났고, 옥수수가 식량 총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밀을 넘어서 중국 제 2대 식량작물이 되었다. 옥수수의 증산은 중국 식량 총 생산량이 해마다 신기록을 세워나가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최근 몇 년간 축산업이 발전되면서 특히 쇠고기, 양고기 및 유제품 시장의 수요잠재력이 증대하여 축산업은 재배업의 새로운 구조조정을 촉진시켰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전통적인 식량-경지의 二元재배구조를 식량-경지-사료의 三元재배구조로 바뀌었다. 이로서 대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고 토지생산력을 높일 수 있어 금후의 재배농업 구조조정의 중요한 방향이 되었다. 예를 들어 四川 雅安市는 과거에 생산량이 적고 품질도 좋지 않은 옥수수를 재배하였으나, 현재는 인공목초를 재배하여 매 ha 당 75톤을 생산하여 四川西雅肉牛産業發展公司를 설립하여 매우좋은 경제효과를 거두었다. 두 번째, 겨울 휴경지를 이용하여 풀을 심어 초식가축을 키워 농민수입을 증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福建 詔安縣에서는 풀을 267만 톤이나 생산하였고 비둘기를 100만 마리나 사육하여 822만 위안의 수입증대를 가져왔다. 세 번째, 한냉지구나 건조, 반건조기후 지역과 수토유실 지역에 退耕種草를 재배하여 생태환경을 개선시켰다. 다) 축산업은 재배농업에게 대량의 유기비료를 공급하였고 토양구조 개선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현실화시켰다. 화학비료의 대량사용은 토양구조를 파괴시켰다. 그러나 전통 유기농업기술을 이용한 퇴비 등의 비료는 이러한 결과의 출현을 막을 수 있었다. 거름을 대량 이용하여 토앙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재배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좋은 작용을 하였다. <여기까지 1713호> 3) 축산업은 사료공업의 빠른 성장을 이끌었다. 第11次三中全會(1978년) 이후 사료공업은 신흥산업으로 국가적인 중시를 받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1980년 말에 전국의 식량부문에서 건설하여 생산을 시작한 사료공장이 1453개였고 그 생산능력은 100 여 만 톤에 이르렀다. 농업, 축산업, 향진기업, 경공업 등의 부문에서도 역시 사료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985년 이후 축산업이 상품화, 전문화 및 규모화되어 발전하면서 축산업 과학기술지식이 보급되고 배합형, 혼합형 사료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이로써 중국 사료가공공업은 새로운 고속발전의 시기에 진입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농축사료와 첨가제혼합사료의 생산량이 대폭 증가하였다. 2000년 중국 배합사료, 농축사료, 첨가제혼합사료의 생산량은 각각 7500여 만 톤, 900여 만 톤, 145여 만 톤이었다. 사료공업은 중국 40개 공업부문 중에서 제 19위로 올라섰고, 중국은 미국의 뒤를 이어 제2의 사료생산대국이 되었으며 그 생산량은 전세계의 1/10이이나 되었다. 사료공업에 종사하는 인원은 30만 명에 이르고 사료공업기업은 1200 여 개에 달하였다. 축산업이 사료공업의 발전에 끼친 영향은 이처럼 매우 컸다. 4) 축산업은 가공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은 한편으로는 날로 늘어가는 축산물 수요에 부응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산품 가공업의 발전을 촉진시켜 축산물 가공능력이 부단히 증강토록 하여 공업수준을 높였다. 2000년에 이미 소 도축 라인이 40-50여 개에 이르렀고 매 라인 당 도축능력이 4000두 이상으로서 매년 120만-150만 두 이상의 가공생산능력을 갖고 있다. 현대화 생산수준의 돼지 도축라인은 1800 여 개로 연간 생산능력은 2억 두 이상이다. 고급가공기술 방면으로 캔 식품 기술을 자동화하고 고속화 설비를 갖춤으로서 연간 400만-450만 톤의 육류가 고급가공을 거쳐 생산되고 있다. 이는 전체 육류 생산량의 8%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축산업은 관련가공업의 발전을 통하여 끊임없는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동시에 수출과 국민수입에도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전국의 경공업 중 도축업, 알류 가공업, 유제품 가공업, 육류 캔 식품 제조업, 피혁 및 모피제품 가공업에 취업해 있는 노동력이 120여 만 명에 달하며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는 2000여 만 달러에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