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국의 축산업 발전과 전망 <4>

정문섭 농림부 투자심사담당관실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5.12 10:41:28

기사프린트

다. 축산업발전에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도전과 기회

1990년대 말, 중국 축산업은 새로운 발전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동시에 새로운 도전과 발전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1) 농촌시장을 일으켜 농민수입을 증가시키면서 축산업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 축산업이 국민경제 중 차지하는 위치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축산업은 현재 이미 농촌경제에서 상대적으로 독립된 지주산업이 되었다. 현재 경제성장속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도 축산업의 발전은 농민수입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위치에 와 있다. 자원, 기술, 자금, 거시경제환경 등 요소의 제약을 받고 있으며 재배농업, 향진기업의 발전이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도 축산업은 비교적 수많은 농민의 수입증대에 꼭 필요한 것이 중요산업이 된 것이다. 첫 번째, 재배업과 비교해볼 때 축산업은 각종 지리, 기후 등의 자연조건의 제약을 덜 받는다. 축산업의 생산은 공간과 시간상의 자유로움이 있다. 두 번째, 농가의 투자액이 비교적 적고 그 회수과정이 빠르다. 그리고, 축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수의기술체계가 비교적 완전하고 번식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이 이미 일반농민에게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세 번째, 중국의 현대화된 규모번식과 전통적인 농가의 소규모번식이 병존할 수 있다.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식량생산의 다양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종 농부산물을 충분히 이용해 사료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네 번째, 축산물시장의 개방이 비교적 빨랐기 때문에 축산물생산자는 이미 일정한 시장적응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축산업이 농촌경제의 활성화, 경제구조의 개선, 농민수입의 증가 등의 방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축산업을 현재 농촌경제의 새로운 성장점, 농민 수입증가의 중요한 경로이자 농촌구조조정의 중요내용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한발 더 나아간 축산업의 발전을 주요정책으로 삼고 있다. 第15次三中全會의 시기에 맞추어 '축산업을 좀 더 중요한 위치에 놓아야 한다' 라는 발언이 나오면서 축산업 발전에 대해 좀 더 높은 요구를 하고 있다. 각 지방정부와 사회 각계가 축산업에 대해 매우 높은 기대를 하고 있으므로 현재 축산업 발전은 매우 유리한 시기에 와 있다.

2) 국민경제와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축산업의 새로운 역할이 필요하다.
환경개선의 강화는 21세기 중국 국민경제와 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국민경제는 고속발전의 성과를 얻었지만 생태환경 방면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중국 국토 중 삼림이 차지하는 비율은 급격히 낮아지고 있고, 양자강과 황하의 생태환경시스템은 매우 취약해졌고, 수토유실과 사막화 현상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1993년, 1994년, 1998년 북부지방에서는 매우 큰 규모의 사막폭풍이 몇 차례 불었으며, 북부지방의 초지는 퇴화되고 매년 200만 ha가 사막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이미 800만 ha의 초원지가 경지로 개간되어지고 있다. 생태환경의 악화는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거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생태환경 복원의 각도에서 보자면, 초지를 이용하는 축산업을 크게 발전시키는 것은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중국의 초원은 동쪽의 大興安 의 서부로부터 시작하여 서쪽의 靑藏高原까지 걸쳐있으며 그 길이는 약 4500Km에 달한다. 초지의 질은 현지 축산업 발전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양자강, 황하의 수토 유지와 동부의 인구밀집지역, 즉 경제발달 지구의 기본적인 생존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에 따르면 강수량이 34mm일 때 매 ha 당 수토유실량은 황무지가 6.75톤, 경지는 3.56톤, 산지는 0.6톤 그리고 초지는 겨우 0.09톤이라고 한다. 황무지, 경지, 산지의 수토유실량은 각각 초지의 75배, 40배, 7배에 달한다. 초지자원을 유효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초지의 건설을 강화하고 초지 목축업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것은 수많은 농민의 생활수준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지구의 경제번영과 사회발전, 민족 상호간의 단결, 사회의 안정유지, 생태환경의 개선,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중대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