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모든 식품의 안전성은 원료에서부터 시작돼야 하는 만큼 당연히 농림부에서 축산식품 뿐만 아니라 농산식품까지도 관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더해 가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축산·수의업계의 전문가 모임인 축산정책포럼은 지난 26일 모임을 갖고, 이같은 문제제기와 함께 의견을 개진하면서 선진외국의 대부분 국가들은 농업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의 농림부와 같은 농업관련부처에서 축산식품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축산식품을 복지부로 일원화하는데 반대의견을 분명히 했다. 축정포럼은 복지부의 논리는 단순히 식품과 보건, 그리고 약무업무를 연계해 추진하고, 식품의 관리업무가 각 부처로 나눠져 있다보니 사각지대가 발생, 이를 개선하기 위함이라고 하는 것은 조직 이기주의 논리의 본모습이라고 꼬집고,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정포럼은 특히 축산식품은 특성상 가축사육단계의 질병관리부터 체계적으로 책임 관리해야 근원적으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지적하고, 더욱이 축산물위생과 가축방역을 일원화함으로써 축산식품의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식품·축산·수의전문가들은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관리에 중점을 준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생상 위험요소를 일관되게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농림부가 담당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