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송아지값이 3백30만원대로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수송아지값 2백60만원과 70여만원의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가격차이 때문에 번식농가에서도 수송아지보다 암송아지 낳는 것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년에 암송아지가 수송아지값보다 평균 20∼30만원 정도 낮았던 것을 고려한다면 암송아지값이 상대적으로 1백여만원 정도 상승한 것이다. 이처럼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수송아지의 경우 수소 비거세우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암소값은 생체 kg당 1만원선에 육박하는 등 꾸준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비육농가에서 밑소확보가 어려워 일관사육으로 전환하면서 암송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번식우로 육성할 경우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입생우로 인한 불안심리가 암소는 수입되지 않고 생우도 제한된 물량만 들어오는 등 번식기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여 불안심리가 해소되면서 암소 번식산업에 대한 안정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곽동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