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닭 농가 및 전문생산업체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닭고기와 함께 토종닭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가든등지에서의 손도계 물량을 제외한 65∼70%정도가 전문도계장이 없이 대부분 노계전문도계장이나 일부 중소규모 도계장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중차이로 인해 전문도계장이 아니면 도계가 힘들 뿐 아니라 파계 발생률도 높은데다 노계전문도계장의 경우 주작업대상인 노계의 유통이 도계후 다시 발골과정을 거쳐야 하는 만큼 도계육 형태로 유통되는 토종닭의 상품성이나 신선도 등을 좌우하는 내장적출 및 탈모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해당작업장의 일정에 밀려 '서자'취급을 받기 일쑤인 것은 물론 특히 이들 도계장 마저도 오는 7월부터 의무화되는 HACCP 인증을 상당수 업체가 포기, 토종닭업계로서는 도계장 확보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토종닭 전문생산업체의 한관계자는 "앞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감수한다고 해도 도계장까지의 거리가 멀 경우 물류비용 부담과 감량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한 실정"이라고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물론 정부가 임의도축 허용대상을 닭을 직접 조리해 판매하는 경우까지 확대할 방침을 세우고 관련 법률개정안 까지 입법예고, 토종닭 업계의 도계장 확보난 해소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토종닭 시장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도시나 대량공급처의 경우 현실적으로 도계장에서의 작업을 반드시 거처야 하는 만큼 육계업계 내부에서 관련법률 개정시 악용의 가능성을 제기, 논란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향후 토종닭 시장확대에도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 얼마전에는 토종닭 관련업체가 공동투자 형태로 전문 토종닭 도계장 설립이나 기존 도계장의 증축을 통한 활용을 검토했으나 이마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토종닭업계에서는 이에따라 주요 소비지역까지의 물류비와 공장가동률 및 수요를 감안, 수도권지역에 몇 개의 토종닭업계가 공동참여하는 전문 도계장설치가 시급하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증가 일로의 토종닭 수요와 아직까지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업계현실을 감안, 정부차원의 지원검토도 뒤따라야 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일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