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의 병원체로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를 면역증강 신물질인 천하제일사료의 '제너탭'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 충남대 김철중 수의과대학 교수와 천하제일사료, 생명공학연구원 등에 의해 개발된 제너탭 신기술은 산학공동 연구에 의한 기술 개발의 쾌거로 평가되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스 바이러스를 부작용 없이 예방,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생명공학벤처기업들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됨으로써 사스 공포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게 된 것. 이번 개발의 주역인 생명공학전문벤처기업인 바리오리더스(대표 성문희)와 엠디랩(대표 김철중)은 사스 바이러스 항원을 식용 유산균 표면에 나타나도록 해 이 유산균을 복용함으로써 체내에 사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기술 개발에 사용된 사스 바이러스 항원은 바이러스 표면을 덮고 있는 표면항원(spike protein)으로 바이러스가 체내에 유입하면 세포에 침입하는 첨병 역할을 하지만 자체로는 사의 유독성을 전혀 갖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따라서 이들 벤처기업이 개발한 기술은 사스 바이러스가 아닌 식용 유산균 표면에서 이 항원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내에 부작용 없이 사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 바이오리더스의 이종수 박사는 "사스 바이러스와 같은 계통의 코로나 바이러스인 PED(돼지유행성설사병), TGE(전염성위장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을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유산균에 접목, 돼지와 쥐에 투여한 결과 PED와 TGE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기술은 혈액내 면역기능인 체액성 면역(IgG)과 코와 장 등의 점막내 면역기능인 점막면역(IgA)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유산균을 치료, 예방의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장기투여도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 바이오리더스 성문희 대표는 "임상실험 등을 거쳐 늦어도 3년이면 이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지만 사스 예방치료제에 대한 시급성을 감안하면 유수한 제약회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훨씬 빨리 상용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바이오리더스 등은 한국은 물론 일본 등에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바이오리더스와 엠디랩은 각각 국민대와 충남대에 소속돼 있는 생명공학 분야 학내 벤처기업이다. 한편 천하제일사료에서 출시,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는 양돈사료인 제너탭은 특수 유산균에 PED-TGE 면역 특이 단백질을 앵커링해 돈군의 PED-TGE 면역력을 증가시키는데다 모돈의 번식 효율 개선뿐만 아니라 돼지의 성장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