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는 참여정부 출범 후 급격히 변화되고 있는 농업·농촌·농정 여건에 대응하기 위해 우선 1단계 조직개편을 단행, 오늘(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1단계 조직개편은 WTO/DDA 협상, 쌀 재협상 등 대외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제농업국에 '농업협상과'를 신설, 대외 협상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그동안 WTO/DDA 농업협상을 담당하는 임시 조직으로 'WTO 농업협상 대책반'을 구성 운영했으나 이를 공식 조직으로 개편, 농업협상과를 신설했다. 그대신 '무역진흥과'를 폐지하고 동 과에서 담당하던 수출업무는 국내 농산물유통과 연계해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농산물유통국 식품산업과로 이관 통합했다. 최근 농축산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우리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유전자형농산물(GMO)에 대한 표시 제도 등 소비자 보호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농산물유통국에 '소비안전과'를 신설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농축산 식품에 대한 안전성과 소비자보호 정책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매시장·공판장 등 농산물 유통시설에 대한 고정투자가 마무리되는 등 여건이 변화됨에 따라 이를 담당하는 '시장과'를 폐지하고, 주요 기능을 유통정책과에 통합했다. 식량수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식량의 생산 및 농자재 위주로 되어 있는 식량생산국의 조직을 시대 변화에 맞게 대폭 개편, 친환경 농업정책 기능을 대폭 정비하고 농업기술, 종자·생명산업 육성기능을 강화했다. 친환경 농업을 강화하기 위해 '친환경농업과'를 '친환경농업정책과'로 개편, 유기농업 육성, 친환경 농산물유통기능을 강화했다. 농업 경쟁력의 원천은 첨단기술 개발과 종자·생명산업 육성에 있다는 점을 고려, '농업기술지원과'를 신설하고, 반면 사용량을 줄여야 하는 화학비료, 농약 등을 담당하는 '농업기계자재과'를 폐지하고, 그 업무를 현재 '농산과'를 '농산경영과'로 개편 이에 통합했다. 아울러 우리 농업·농촌이 갖고 있는 공익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알리기 위해 공보관실에 홍보담당직을 신설하고 농축산물 소비촉진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사업국별로 홍보기능을 신설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