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수급안정위원회의 노계도태지원사업이 육용종계노계 27만수, 산란계 1백만수에 대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양계수급안정위는 최근 노계도태 지원사업 계획(안)을 확정, 지난 4일 사업 시행여부에 대한 수급안정위원들에 대한 서면 의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수급위의 한관계자는 지난 4일 "종계와 산란계 구분없이 동시에 사업을 실시하되 종계의 경우 수당 4백원, 산란계는 수당 2백원씩 계정육업체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며 "수급위원들의 의결이 이뤄질 경우 세부지침마련과 감독관 선정과정 등을 거쳐야 하는 만큼 10일을 전후로 해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같은 사업물량은 종계의 경우 한국계육협회와 대한양계협회의 사전 사업량 파악을 통해 계열화업계가 14만수, 일반 종계장 13만수로 집계된 데 따른 것이며 산란계는 매월 자연도태 추정물량인 2백만수의 50%에 해당하는 것이다. 특히 사업기간은 오는 8월말까지 실시한다는 방침이라는게 수급위측의 설명이다. 현재 가동되고 있는 계정육업체가 3개사에 불과한 상황에서 노계정육 수요가 크게 감소한 반면 최근 육계작업물량이 급증, 일일 노계작업량이 대폭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게 그 배경이다. 그러나 계정육업체들의 종계 선호추세를 감안할 때 산란계사업은 종계물량 처리된 뒤에야 본격화 될 가능성이 높아 자칫 사업목표를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계열화업계를 포함한 종계업계 내부에서는 "27만수라는 물량은 애당초 한달간 실시를 전제로 조사된 것인만큼 사업기간이 한달 더 연장될 경우 그만큼 사업물량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수급위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노계 도태지연에 따른 민원해소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인 만큼 적체물량에 제한될 수 밖에 없다"며 "특히 8월이후엔 노계정육에 대한 수요도 어느정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자연도태 대상까지 수급위 사업에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또 산란계나 종계 가운데 작업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전적으로 계정육업체의 맡길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일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