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고급육생산은 수입육과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설사병과 호흡기 질병예방은 안정적인 송아지 확보차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육질과 육량이 우수한 고급육의 생산과 송아지 폐사방지는 영원한 숙제일 정도로 한우농가들 사이에서 해결해야할 과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아산축협(조합장 맹준재)은 지난달 23일 한우농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가축개량사업소 윤충근 가축병원장과 축산기술연구소 오영균 박사를 초청, 한우송아지 질병의 예방과 치료 및 한우 고급육 생산기술을 주제로 한우집합컨설팅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에 앞서 맹준재 조합장은 인사말을 통해 “쇠고기 수입개방과 생우수입으로 인해 각종 외래질병의 유입가능성 및 수입육의 한우로의 둔갑판매 등 한우농가의 생존권마져 위협하고 있다.”며“이럴 때 일수록 철저한 질병예방은 물론 육질과 육량이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해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충근 원장은 “초유속에는 일반우유에 비해 5배나 많이 함유된 면역물질이 질병을 예방한다.”며 “초유는 반드시 2시간이내에 먹여야 효과가 제대로 나오므로 가능한 빨리 먹여야 한다.”고 강조한뒤 초유가 안나오는 소는 초유를 짜서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먹여도 된다고 밝혔다. 윤원장은 “설사로 송아지가 죽는 경우는 탈수와 체온저하가 대부분이므로 설사병 치료시 사료나 포유를 중단하고 전해질 투여시에는 입으로 먹이거나 주사 등 투여방법에는 효과에서 차이가 없으나 반드시 송아지의 정상체온 보다 높은 40℃내외로 데워서 수액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호흡기 질병의 3대 요소로 유효한 치료약제의 선택, 조기발견, 충분한 치료기간을 강조한 윤원장은 증상이 없어진 후에도 1.2일간 추가치료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오영균 박사는 “육성기에 조사료를 많이 급여하면 제1위와 소화기관 전체가 잘 발달될 뿐아니라 골격도 발달해 출하체중을 늘릴 수 있는 체형을 형성시켜 장기비육시에도 지속적인 증체가 가능한 건강한 비육밑소를 육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황인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