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2. 중국 축산업 발전에 장애를 주고 있는 문제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7.09 14:21:33

기사프린트

2. 중국 축산업 발전에 장애를 주고 있는 문제

국제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민경제 및 농촌경제는 새로운 단계를 거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시기의 경제발전은 축산업에 대한 역할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중국 축산업의 경제발전 중 존재하는 일련의 문제들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미래 중국 축산업의 발전에 큰 방해가 될 것이다.

가. 생산구조가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축산물가공업이 낙후되어 있다.
현재 축산물의 수요가 그리 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거시경제환경의 영향 외에도 더 중요한 것은 축산업 본연의 생산구조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긴 가공과정을 거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부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제품의 시장잠재력이 아직 충분히 발굴되지 못한 것에 있다. 제품구조와 지역분포 등에서도 시장수요와 자원조건이 서로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중국은 경지가 부족하나 식량소비형의 돈육 생산량은 전체 육류의 67%를 차지하고 있는데 세계 평균의 39%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반면에 초식가축인 우육의 비중이 겨우 7.8%밖에 되지 않아 세계 평균의 26.3%보다 훨씬 낮다. 중국의 육류, 알류, 유제품의 생산량 비중은 100:35:13으로 유제품의 생산량이 현저히 낮다. 이처럼 생산구조와 자원상황은 서로 어긋나고 있는 것이다.
수입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구조에도 역시 변화가 일고 있다. 각종 축산물의 가격은 서로 다른 변동추세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돈육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였고 우육, 양육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하였다. 현재 우육, 양육, 돈육, 알류의 가격비는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양육과 돈육의 가격비는 1991년의 1.18:1에서 2000년의 1.30:1로 변화였고, 양육과 계란의 가격비는 1991년의 1.35:1에서 2000년의 2.32:1로, 우육과 계란의 가격비는 1.04:1에서 2.04:1로 변화하였다. 이것은 중국인의 우육, 양육에 대한 수요가 비교적 커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돈육에서는 비계가 없는 돈육이 토종돈육보다 크게 비싸고, 계육에서도 우량품종의 가격이 외래종 닭고기보다 훨씬 높다. 이것은 중국인의 상품품질에 대한 의식이 예전과는 많이 다르고 고품질 상품에 대한 수요가 왕성해진 거을 의미하며 현재의 축산물 생산구조가 수요와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그 외에도 국산 양모는 대부분 거친 양모이기 때문에 매년 부드러운 양모를 국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것 역시 생산구조의 불합리성을 말해주는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선진국가의 축산물 가공은 축산물 총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한다. 하지만, 중국 축산물은 가공산업화수준이 낮고 가공기술이 비교적 낙후되어 있으며, 기업규모 또한 작아 축산업 발전에 비해 그 발전이 낙후되어 있다. 가공정도가 부족하고 상품수량이 적으며 고품질 제품의 비중도 낮다. 예를 들어, 중국 원료피혁 자원이 풍부하더라도 중국 국산 원료피혁의 품질과 수량은 국내시장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국산 피혁은 가공생산능력의 70% 정도를 공급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 중 소가죽은 겨우 25%~30%정도만을 공급하고 있으며 기타 부분은 매년 막대한 외화를 써가며 수입하고 있다. 2000년 소가죽의 수입금액만 해도 20억 달러가 넘는다. 유제품업은 경영상의 곤란은 겪고 있다. 흑자를 내는 기업은 6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손실을 보고 있다. 대량의 유제품이 국내시장에서 범람하고 있으며 2000년의 유제품 수입은 12만-13만 톤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