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덴마크 양돈산업과 양돈협동조합의 역할

임영선 농협중앙회 조사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07.14 10:17:48

기사프린트

최근 국내 양돈산업은 사육두수 증가와 수출 중단으로 인해 하반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사육마리 9백만두 시대와 양돈조합들간의 합병이 이뤄지고 있으며 양돈장들이 전·기업화가 이뤄지면서 양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99년까지는 양돈산업이 수출산업으로써 농산물 중에 가장 큰 성과를 보였으며 농업에서도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세계 1위의 돼지고기 수출국인 덴마크의 양돈산업 현황과 그 속에서의 협동조합 역할을 살펴보고 이를 국내 양돈산업에 적용 가능성을 알아봤다.
덴마크의 양돈산업 현황과 양돈협동조합 사례를 농협중앙회 조사부에서 CEO Focus를 통해 발표한 자료를 요약 정리했다.





■ 덴마크 양돈산업 현황
1. 덴마크 양돈산업의 위치
가. 세계 양돈산업에서의 위치
덴마크는 돼지고기 생산에서 세계 9위 이며 EU국가중에는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간 돼지고기 생산량은 1백74만톤(2002년 기준)으로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의 2%에 불과하지만 연간 돼지고기 수출량은 1백28만톤(2001년)으로 세계 돼지고기 수출량의 18%, EU국가 돼지고기 수출량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나. 덴마크 농업에서의 위치
돼지고기는 덴마크 농산물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01년 기준으로 전체 수출액의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산물 수출액 중에서는 무려 50%가 넘는다.
총 양돈생산액은 약 1백77억DDK(2001년말 기준 1DDK는 155원, 한화 2조7천4백35억원)로 전체 농산물 생산액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2. 덴마크 양돈산업의 구조
가. 양돈농가
2001년말 현재 덴마크 양돈농가 수는 1만4천3백87호로 전체 농가수 5만3천4백89호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사육규모별로는 2001년 기준으로 1천두 이하 사육농가가 8천8백여호로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3천두 이하가 3천3천여호로 23% 순이며 5천두 이상 농가는 8백75호로 6%를 차지하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1천두 이하 사육농가가 2만6천호에서 2001년 8천8백호로 66%나 감소한 반면 5천두 이상 농가는 2백호에서 2001년에는 3백19%나 증가했다.
특히 덴마크 양돈농가들의 특징은 대다수가 전업농으로 구성돼 있지만 사료작물 생산을 위해 곡물재배를 병행하고 있는데 약 60%가 곡물을 재배하며 이중 2/3가량을 사료로 이용하고 있다.

나. 돼지생산
2001년 기준 덴마크의 돼지 사육두수는 2천만두로 지난 10년간 30%가 증가한 수치이다.
또 돼지 두당 사육비는 1백kg기준으로 10만6천원으로 경쟁국인 미국 등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편이지만, 우리나라나 일본에 비해서는 훨씬 낮으며 품질경쟁력이 높아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다. 주요 수출대상국
덴마크는 세계 1위의 돼지고기 수출국가로서 1백74만톤의 생산량 중 무려 71%인 1백22만톤(2001년 기준)을 수출하고 있으며 이중 EU국가로 62%를 일본 등 기타지역에 38%를 수출하고 있다.
주요수출대상국가는 독일, 영국,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등이며 일본의 경우 수입물량은 적으나 고급육 위주의 수출로 금액기준으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